한국TRS, TRS단말기 직접통화 허용 놓고 고민

「가입자 서비스 제고냐, 아니면 수익성이냐.」

한국TRS가 주파수공용통신(TRS) 단말기간 직접통화(Talk Around) 허용여부를 놓고 고민에 빠졌다.

허용하자니 8㎒대역 무전기제도를 새롭게 도입해 결과적으로 한국TRS의 수익감소로 직결되고 허용치 않자니 가입자들의 통화불편이 계속되기 때문이다.

논란이 되고 있는 TRS단말기간 직접통화는 주로 전파음영 지역이나 통화권 외의 지역에서 기지국을 이용치 않고 통화를 하는 방식으로 TRS의 장점과 기존 업무용 간이무전기(워키토키)간의 장점을 서로 살린 새로운 방식의 서비스다.

현재 한국TRS는 지난 9월부터 일본전파가 침범해 통화장애를 겪고 있는 마산지역의 가입자 2백명을 대상으로 일부나마 이 제도를 도입,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TRS가입자가 5만명으로 늘어나고 산악지형이 많은 국내 전파화경에서 전파음영지역이 상존한다는 것이 엄연한 사실로 받아 들여지면서 자연스레 이 문제가 도마 위에 오르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일부 가입자들 중에는 허가없이 출력을 증폭해 변칙운영하는 사례도 가끔있어 한국TRS가 정보통신부에 질의를 띄우는 등 이번 기회에 이를 공론화하기로 함에 따라 수면위로 급부상한 것이다.

정통부는 회신에서 「허가된 주파수 내에서의 TRS단말기간 직접통화는 전파법에 저촉되지 않는다」고 밝혀 일단 허용여부의 칼자루는 한국TRS에 넘어온 상태다.

하지만 문제는 한국TRS가 이를 허용할 경우 예기치 않게 파생되는 부작용으로 섣불리 도입을 주저하고 있다. 즉 가입자들의 서비스제고 차원에서는 제도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대체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허용할 경우 가장 중요한 수입원천을 봉쇄당하는 꼴을 초래해 즉시 도입을 주저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근본적인 도입주저 배경은 지금도 불법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가입자들이 본격 제도시행 후 대리점과 공모할 경우 이같은 사례가 기승을 부려 TRS시장 전체를 헝클어 놓을지도 모른다는 우려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에 대해 업계의 한 관계자는 『어치피 전파음영지역의 발생은 피할 수 없는 입장인데다 가입자를 위해서도 제도도입이 필연적』이라고 전제한 뒤 『다만 사후관리를 확실히 하고 무분별한 도입을 방지키 위해 유료화한 부가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언급했다.

<김위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