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통신과 지역 시티폰사업자들의 시티폰서비스 이전협상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가운데 수도권 사업자인 서울이동통신(대표 이봉훈)이 협상결과에 관계없이 오는 15일자로 일방적인 서비스 종료를 결정, 이를 가입자들에게 통보해 파문이 일고 있다.
3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서울이동통신은 자사의 시티폰 가입자들에게 지난 24일자로 개별적인 안내문을 발송, 「2월15일 서비스 종료」를 통보했다.
서울이동통신은 이 안내문에서 『과도한 영업비용과 각종 부담 급등으로 매월 40억원 이상의 적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누적적자만 1천3백억원 이상에 이르는 등 회사의 존립마저 위태로운 상황에 이르렀다』며 『가입자들이 영업소에 나와 해지 및 보증금 반환절차를 거쳐줄 것』을 요청했다.
이 회사의 이같은 조치는 한국통신과의 협상과정에서 장비인수조건에 대한 견해차가 좁혀지지 않아 협상이 결렬될 가능성이 높아지자 서비스를 조기에 종료, 독자적인 사업청산절차를 거침으로써 더이상의 출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서울이통의 이번 조치에는 「여타 서비스 사업자로의 이전」 등 가입자 보호대책이 전혀 없어 각 대리점에는 가입자들의 항의가 잇따르고 있으며 대리점들도 피해보상을 요구하고 있어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영등포지역의 한 대리점 사장은 『현재 약 3백대 가량의 시티폰 재고물량을 안고 있는 상황에서 일선 대리점과 한마디 상의도 없이 일방적으로 서비스 중단을 통보하는 것은 상도의상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대리점에 대한 합당한 보상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서울이동통신은 한 때 18만명에 달하던 자사 가입자 수를 직권해지 등을 통해 최근 9만명 이하로까지 줄였으며 서비스 종료 전까지 최대한 해지시킬 방침이어서 고객관리가 무분별하다는 비난도 받고 있다.
서울이동통신의 한 관계자는 이에 대해 『고객안내문은 서비스를 거의 이용하지 않는 약 3만명의 가입자를 대상으로 발송했으며 타사로의 서비스 이전을 최대한 안내해줄 방침』이라고 설명하고 『대리점들에 대한 보상책도 조만간 마련하겠다』고 해명했다.
한편 한국통신과 대부분의 지역 시티폰 사업자들은 가입자 및 장비 이전에 관한 실무협의를 마치고 최종 합의서 체결만을 남겨 놓은 상태이나 서울이동통신은 장비 인수가격에 합의하지 못해 협상결렬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최상국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