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통신, 시티폰사업 통합... 어떻게 활용하나

시티폰 서비스의 단일화 협상이 타결됨에 따라 앞으로 한국통신이 단독으로 수행할 시티폰의 진로에 대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아직 한국통신과 합의에 도달하지 못한 서울이동통신의 사업처리 방향이 미결 현안으로 남아있긴 하지만 서울이동통신은 이미 사업폐지 승인신청서를 정부에 제출한 상태이기 때문에 이제 시티폰의 미래는 오로지 한국통신의 손에 달려 있게 된 셈이다.

우선 한국통신은 시티폰을 시내전화 부가서비스로 전환하고 요금체계를 시내전화 요금과 동일하게 전환할 계획이다. 또 현재 10mW인 출력을 1백mW로 높여 기지국의 서비스 반경을 넓히겠다고 밝혔다. 정부도 이미 이같은 서비스 개선방향에 대해 동의하고 있어 역무변경, 주파수배분, 출력증폭 등에 대한 행정절차는 순조롭게 이뤄질 전망이다.

시티폰서비스가 이처럼 바뀌게 되면 시티폰은 그야말로 「주머니 속의 공중전화」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며 침체를 면치 못했던 시장분위기도 다시 살아날 것으로 한국통신은 기대하고 있다.

한국통신으로의 통합, 시내전화 부가서비스로의 변경 등은 지난해 가을 시티폰시장이 비관적으로 흐르기 시작하면서 업계에서 최선의 대안으로 거론해 온 방안이다. 결국 지역 시티폰사업자들은 힘겹게 획득한 사업권을 경쟁사였던 한국통신에 「헌납」하고 한국통신은 비관적인 시장전망 속에서도 모든 권한과 책임을 홀로 감수하기로 결정함으로써 시티폰서비스를 회생시키기 위한 최후의 카드가 만들어진 셈이다.

한국통신으로의 통합이후 시장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은 지역 시티폰사업자들도 동의하고 있다. 나래이동통신의 한 관계자는 『한국통신이 시티폰을 시내전화 부가서비스로 바꾸어 저렴한 요금체계를 도입할 경우 시티폰의 성공가능성은 매우 높다』며 『솔직히 한국통신이 부럽기도 하다』고 말했다.

만약 업계의 이같은 낙관적인 전망이 현실로 드러난다면 시티폰사업은 지난 1년간의 시행착오를 거치기는 했지만 통신시장에서 낙오하는 최악의 결과에서는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한국통신이 지역사업자 대리점들의 영업권을 보장해주고 지역사업자들에게 단말기를 공급해온 제조업체들의 재고부담을 덜어주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어 단말기 제조업체들이나 영업 대리점들도 탈출구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제 시티폰업계에 마지막으로 남은 것은 서울이동통신의 장비를 어떻게 처리하느냐는 문제다. 서울이동통신의 시티폰 가입자수는 이 회사의 서비스 중단 발표 이후 급격하게 줄어들어 현재 1만명 정도로까지 떨어진 상태다. 서울이동통신에 따르면 매일 5천명씩의 가입자가 가입을 해지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절반 정도가 한국통신으로 재가입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 주말을 전후해 서울이동통신 시티폰가입자는 제로가 되고 이 회사가 정부에 신청한 사업폐지도 허가될 전망이다.

그러나 서울이동통신이 보유한 장비의 처리방향은 아직 오리무중이다. 양사 모두 협상타결에 대한 미련을 아직도 버리지 못하고 있다. 서울이동통신 장비 없이도 서비스에는 불편함이 없다던 한국통신이나 여차하면 외국에 팔아버리겠다던 서울이동통신 모두 현재 선택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은 한국통신으로의 통합이라는 데에는 견해를 같이 하고 있다.

한국통신으로서는 서울이동통신이 막상 기지국의 전원을 꺼버렸을 경우 발생할 서비스 커버리지의 축소에 대해 우려하지 않을 수 없는 입장이며 서울이동통신도 10개 지역사업자 가운데 혼자서만 독불장군 행세를 하고 있는 데 대한 업계의 따가운 시선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사의 의견차이가 좀처럼 좁혀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 것은 서울이동통신이 보유한 장비의 가치에 대한 양사의 평가가 팽팽하게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9개 지역사업자들과 「장부가격의 20%」에 합의를 본 한국통신은 서울이동통신에 대해서는 5∼10%밖에 쳐줄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한국통신은 서울이동통신 장비는 타사와 달리 기지국제어시스템 같은 부가장치가 붙여져 있어 이전 및 유지 비용이 더 들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반면 서울이동통신은 아무리 양보해도 35∼40% 이하로는 팔 수 없다는 입장이다. 자사의 통신망은 종합정보통신망(ISDN)급으로 구성돼 있어 전용회선료를 타사보다 월 2억원 이상 절감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 서울이동통신의 주장이다. 협상과정에서 감정이 악화될 대로 악화돼 있는 양사가 원만한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최상국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