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전자상거래-경영진 의식전환 급하다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가 머잖은 장래의 일상적 무역형태로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기업들의 전자상거래 활용은 극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최근 대한상공회의소가 상장회사 3백34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인터넷 활용실태」 조사에 따르면 조사기업중 69.5%에 해당하는 2백32개 기업이 업무상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중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기업은 25.5%에 지나지 않고 52.4%는 인터넷을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들 업체 가운데 34.6%가 아직 홈페이지를 개설하지 않았으며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는 경우에도 활용분야가 주로 기획, 정보수집, 전자우편, 기업홍보 등 극히 단순하고 제한적인 업무에 국한돼 있고 영업, 판매 등에 전자상거래에 활용하고 있는 기업은 전체의 10%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대표적 기업군으로 간주될 만한 기업들이 인터넷을 영업에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은 국내기업 대부분의 인터넷 활용상황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그 주요 원인은 경영진의 정보화 마인드 부족, 통신네트워크의 미비, 전문 지원인력의 부족 등이며 그중에서도 경영자의 정보화에 대한 인식부족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해 경영자의 의식전환이 선결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번 조사를 통해 그동안 일반적으로 가져왔던 전자상거래에 대한 비교적 높은 관심과 논의에 비추어 기업들의 전자상거래 활용도 일정 수준에는 이르렀으리라는 막연한 기대가 현실과는 너무 멀다는 사실이 입증된 셈이다.

전자상거래는 국경을 초월한 상품거래를 의미하는 것으로 판매자와 구매자 모두에게 비용과 시간의 절감효과를 주게돼 기존 상거래 관행에 일대 혁신을 가져올 것이 분명하다. 전자상거래는 산업사회에서 활발한 기업활동을 하던 중간유통업체를 포함한 대부분 기업들의 존립과 직결되는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전자상거래는 최근 정보화사회의 국제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어 이같은 추세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면 국제경쟁에서 뒤처지게 될 것이다.

주요 선진국 및 국제협력기구에서는 새로운 경제사회로서 정보화사회를 조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미국은 지난 97년 전자상거래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이 시장을 장악하기 위해 국제적 논의를 주도하고 있다. 이에 대해 유럽은 개별국가 단위가 아닌 EU를 중심으로 대응하고 있고 일본, 캐나다, 호주 등도 발빠른 대응자세를 취하고 있다.

이같은 국제사회의 움직임에 대해 우리 정부가 우선 최근 말레이시아에서 개최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고위관리회의에서 이루어진 「전자상거래분야 협력에 관한 합의」에 따라 대외협력반을 보강하고 그에 적극 대처하기로 한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또한 관련 업계 단체 및 일부 기업체들이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해 각종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도 다행스러운 일이다.

커머스넷 코리아사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다음달부터 전자화폐에 기반한 전자상거래 시범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해 이제 본격적인 전자상거래 시대가 열리고 있다. 대우, 삼성, LG, 현대 등 전자4사가 지난해부터 추진하고 있는 전자, 정보통신업계의 한국형 CALS/EC(광속거래/전자상거래) 표준모델의 개발 및 전자상거래 기반 구축사업은 전자상거래를 촉진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한국CALS/EC협회가 포항제철을 대상으로 추진중인 철강CALS/EC체계 구축계획도 국내 철강산업CALS/EC의 마스터 플랜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국내 전자상거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처럼 활성화의 계기가 속속 마련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업 경영진의 정보화 마인드 부족으로 국내 전자상거래 이용은 아직 초보단계에 지나지 않는 상황이다. 경영인들은 이제 인터넷 전자상거래가 더 이상 학술적 이론이 아니라 영업에 필수적인 현실이라는 사실을 깊이 인식하고 정보화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갖고 과감한 투자에 나서야 한다.

정부 역시 기업의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좀더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야 할 때다. 전자상거래의 바탕이 되는 인터넷은 개별 기업이 통제할 수 없는 전 지구적 차원의 개념이므로 고속 기간통신망의 확충을 앞당기도록 적극 지원할 뿐 아니라 기업간 협력체제 구축, 전문인력 양성 및 법‘제도적 지원 등 기반인프라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