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세계적으로 인터넷 사용이 급증함에 따라 각종 데이터가 기간망에 한꺼번에 몰려 발생하는 병목현상이 새로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심각한 수준을 보이고 있는 것은 NAP(Network Access Point), MAE(Metropolitan Area Exchange) 등 미국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간 상호접속점이다. 데이터가 전세계 각지에서 무차별적으로 밀려오기 때문에 전송처리가 이에 미쳐 따라기지 못해 데이터 손실이 종종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인터넷의 혼잡을 완화할 수 있는 새로운 통신기술이 등장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일본전신전화(NTT)가 최근 개발한 고속통신기술인 「MAPOS(Multiple Access Protocol Over SONET/SDH)」가 그것.
MAPOS는 광섬유를 이용한 데이터전송표준인 SONET/SDH(Synchronous Optical Network/Synchrous Digital Hierarchy)의 프레임 단위로 데이터를 고속교환하는 기술로 이 기술을 응용한 시스템이 이른바 「SONET스위치」이다. 이 기술은 종전의 통신기술에 비해 통신효율이 뛰어나고 거리와 속도면에서 확장성이 좋은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따라서 인터넷 기간망 외에도 대용량의 파일을 주고받는 사내 근거리통신망(LAN)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
현재 MAPOS 기술을 적용한 기기로는 일본 중앙시스템기연과 몇몇 업체들이 NTT로부터 프로토콜 소프트웨어 관련 라이선스를 받아 선보인 87Gbps급 처리능력을 지닌 SONET 스위치 「COREswitch80」과 워크스테이션(WS) 및 PC용 인터페이스 보드 등이 있다.
MAPOS가 고속 데이터통신 분야에서 시장을 넓혀가기 위해서는 현재 이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비동기전송모드(ATM)와 이더넷 등 기존 통신기술의 벽을 넘어야 하는 과제가 남아있다.
MAPOS가 ATM에 비해 뛰어난 점은 데이터 전송효율이 높다는 점이다. ATM은 IP(인터넷 프로토콜)패킷 등 상위층의 데이터를 세분화해 각각에 헤더를 부가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또 데이터전송과 교환처리 단위가 되는 53바이트의 ATM셀중 5바이트가 제어정보(헤더)부분인 반면 MAPOS의 경우 64K바이트에 달하는 페이로드(정보저장부분)에서 헤더부분이 차지하는 것은 7바이트정도로 적다.
또 ATM은 데이터전송을 시작하기 전에 통신로를 설정하는 커넥션형 통신인데 반해 MAPOS는 커넥션리스형 통신이기 때문에 커넥션을 설정할 만큼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MAPOS가 이더넷에 비해 뛰어난 점은 속도와 거리의 확상성이 좋다는 점이다. SONET/SDH는 6백22Mbps,2.4Gbps,10Gbps 등 속도체계가 이미 정해져 있어 새로운 표준을 작성할 필요가 없고 거리면에서는 최대 40㎞까지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광앰프나 리피터를 사용할 경우 통신거리를 더 연장할 수 있다.
또 SONET/SDH의 프레임을 사용하는 「포인트 투 포인트(1대1)」 통신용 프로토콜인 「PPP(포인트 투 포인트 프로토콜) over SONET」의 경우 복수의 PPP over SONET에 기반한 기기를 접속할 때는 모든 단말기들을 연결하기 위한 회선을 그물코모양으로 구성해야 하고 기기측에는 회선수 만큼의 인터페이스가 필요하지만 MAPOS는 「멀티포인트 투 멀티포인트」방식이어서 스위치를 가운데둔 별(star)형태의 구성도를 채택하게 되면 굳이 많은 인터페이스를 필요로 하는 그물코모양의 구성을 취하지 않아도 되는 잇점이 있다.
MAPOS가 규정하고 있는 것은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정하는 OSI(오픈시스템즈 인터커넥션) 참조모델인 데이터링크층(제2층)의 프로토콜이다. 현재 MAPOS는 관련 프로토콜을 포함해 인터넷의 기술규격 RFC(Request For Comments)2171~2176으로 공개되고 있다.
이 때문에 종전에는 日중앙시스템기연과 같은 경우에는 NTT로부터 MAPOS 관련 라이선스를 받아 개발했으나 이제는 RFC를 토대로 MAPOS에 기반한 제품을 독자개발할 수 있다.
MAPOS의 기본작동은 아주 쉽다. IP패킷 등 네트워크층(3층)의 데이터패킷을 데이터링크층의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프레임에 맵핑해 물리층(제1층)의 SONET/SDH에 탑재한다.
HDLC의 헤더에는 8비트 혹은 16비트의 어드레스 필드가 있는데 MAPOS 기반 스위치는 데이터를 목표 포트로 전송하기 위해 이 어드레스 필드를 사용한다. 스위치는 단말기에 HDLC 어드레스를 부여한 다음 단말기과 HDLC 어드레스의 대조표(어드레스 테이블)를 작성한다. HDLC 어드레스는 IP어드레스처럼 소속된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어드레스」와 그 네트워크내의 단말기를 표시하는 「호스트 어드레스」를 조합해 사용한다.
데이터링크층의 프레임으로 HDLC를 사용하는 이유는 이미 상용화되어 있는 PPP over SONET과 호환성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이 프로토콜을 사용한 라우터는 어센드커뮤니케이션즈, 시스코시스템즈 등 미국 업체들이 시장에 선보이고 있다.
<주문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