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사회 각 분야에서 정보기술의 실질적인 활용이 선진국에 비해 크게 미흡한 것은 시스템간 상호연동 및 호환성 등의 문제가 제대로 해결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올해 처음 열린 「제1회 정보통신 표준화 심포지엄」의 산파역할을 해온 박성득 한국전산원장은 『정보통신기술의 네트워크화, 디지털화의 급속한 진전으로 정보의 공동활용, 호환성, 연동성 확보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이같은 시점에서 그동안 국내 정보통신 관련 7개기관이 분산 개최해온 표준화 행사를 하나로 통합해 심포지엄을 열었다는 사실은 국내 정보통신산업 경쟁력확보에 적지 않은 의미를 지닌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주민전산망의 경우 주민자료의 데이터양식과 운전면허의 양식이 달라 실시간 데이터 교환이 불가능한 것은 물론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간에 공동표준 미비로 지역정보화사업이 자치단체별로 개별 시행돼 각종 지역DB 공유 및 시스템간 연계가 어려운 게 국내 정보화의 현주소다.
국내 통신분야에서 유무선은 그런 대로 표준화가 잘 진행되고 있지만 해외 시스템을 그대로 들여와 사용해야 하는 전산분야는 좀 심각한 상황이라고 지적한 박 원장은 『무엇보다 정부부처와 관련기관부터 표준화를 추진해 정보의 원활한 유통기반을 마련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 원장은 특히 『그동안 기술이 개발되고 난 뒤에야 표준화됨으로써 관련시장 확보가 곤란하고 민간업체의 표준화 활동에 대한 참여도 부족해 표준의 실효성이 떨어져왔다』고 진단하며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 표준화 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과감한 투자를 실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우선 기술개발 착수와 동시에 표준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간소화된 표준화 절차를 도입하고 보다 실질적이고 적용 가능한 표준을 개발하기 위해 민간업체의 참여를 유도하는 한편 기술개발 및 표준 전문가 양성에 힘써 나갈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김경묵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