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덧 국제통화기금(IMF)체제가 시작된 지도 6개월이 지났다. 그간 우리나라에서는 IMF체제의 조기졸업을 목표로 금융, 기업, 노동시장 등 제반 영역에서 수많은 개혁조치가 단행돼 왔다. 이러한 개혁조치를 통해 일부에서는 우리나라가 최악의 위기는 넘겼다고 한다. 하지만 아직 우리나라의 앞날을 낙관하기에는 무리라는 것이 지배적인 의견이다.
부즈 앨런의 한국보고서 등에서는 우리나라 경제가 IMF체제로 들어서게 된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가 컴퓨터 기술과 네트워킹 기술의 혁신적인 발전, 그리고 WWW를 바탕으로 한 인터넷 이용자의 급속한 증가 등으로 인한 전자상거래로 특징지어지는 21세기 정보사회, 지식사회로의 진입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따라서 정보기술의 활용을 통한 전자상거래의 조속한 실현은 정보사회, 지식사회로의 진입을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제다. 특히 상거래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는 기업은 전자상거래의 도입으로 업무를 효율화(Value Chain)함으로써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적절히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경영기반과 경영환경을 조성, 정보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
전자문서교환(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은 UN/EDIFACT라는 국제표준을 바탕으로 한 전자상거래 구현의 핵심요소가 되는 새로운 거래방법으로서 이미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의 기업들은 87년부터는 세계표준기반 EDI를 활용하는 데 익숙해졌을 뿐만 아니라 국제표준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 자국의 표준이 국제표준으로 제정되게 함으로써 그들의 정보경쟁력을 강화시켜 나가고 있다.
우리나라도 90년부터 각 업종에서 EDI를 도입하기 시작해 무역, 통관, 의료, 유통, 조달 등 일부 산업부분에서는 EDI를 활발히 도입하고 있으나 산업전체로 볼 때 우리나라의 EDI 활용정도는 매우 일천하다고 할 수 있다. 얼마 전 본 표준원이 상시종업원 10인 이상인 수도권 지역 8백여개 사업체를 대상으로 직접 개별면접을 실시한 「국내 업체의 EDI 활용 현황분석」에서 현재 우리나라 기업들의 90%는 EDI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조사대상 기업의 31%만이 부분적으로 EDI를 이용하고 있으며 향후 도입의사를 밝힌 기업은 17.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EDI를 전혀 몰라 개별면접을 거부한 업체까지 고려하면 우리나라 EDI 기반의 전자상거래 수준은 아직도 취약한 수준임에 틀림없다. 또한 응답기업의 과반수 이상(51.4%)이 앞으로 EDI를 사용할 계획마저도 없다고 대답했다. 그 이유로는 EDI 인식부족, 투자에 대한 효과가 미흡하리라는 인식, 관련기관이 EDI를 도입하지 않음에 따른 일관적인 업무처리의 어려움, 전문요원의 부족 등을 지적했다.
한편 현재 EDI를 도입하고 있는 31%의 기업들은 EDI 도입으로 업무처리시간 단축, 업무관련 제비용 절감, 업무상 에러 및 재입력 감소, 물류비 절감, 인력절감 및 인력의 효율적 활용, 대고객서비스 향상, 경쟁력제고 및 거래처와의 관계개선, 새로운 사업거래처의 확대 등 큰 효과를 보고 있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EDI 확산을 저해하는 사용상의 문제점으로는 내부응용 SW와 EDI 통합상의 문제, EDI사용자 SW 폐쇄성 및 한계성, 관련 법령 및 제도 미비 등이 지적돼 관심을 모았다.
이번 조사를 통해 우리나라가 EDI 실현을 위해 실천해야 할 과제가 명백해졌다.
첫째, 기존 거래방식에 집착하는 고정관념으로부터 탈출해 EDI활용이 비용절감, 효율성 향상을 가져온다는 인식확산을 위한 홍보 및 실증적 모델제시를 통한 인식제고가 필요하다.
둘째, 초기 투자비를 줄이기 위해 관련 인프라의 조기 구축과 중소기업에 대한 세금감면 등 지원시책이 추진돼야 하겠다.
셋째, 전자상거래지원센터 등을 통한 인력양성이 확대돼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부기관(조달, 통관 등)을 비롯한 거래관련 대상조직들간의 EDI 연계실시를 통한 업무의 일관처리가 이뤄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한국전자거래표준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