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1800억 달러에 달하는 미국 연방정부 조달시장이 유망 수출시장으로 부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업체들의 참여가 극히 부진하다.
특히 정보기술(IT)을 비롯한 전기·전자·정보통신 분야에서 미국 정부의 조달 규모가 지난해에 117억 달러에 달했으나 국내 관련업체의 참여가 거의 전무했다고 하니 정부당국 및 관련업계의 좀더 적극적인 관심과 대응책 마련이 있어야 할 것 같다.
최근 본지 보도에 따르면 우리나라가 지난해 직접 계약을 통해 미 연방정부 조달구매에 납품한 금액은 약 3억4400만 달러로 미정부 전체조달 구매량의 0.2%에 불과한 실정이며 그나마도 용산 등 주한미군과 미대사관에의 납품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을 뿐 미정부 조달용으로 현지에 수출한 것은 레이더항법장치 등 1900만여 달러 어치로 전체의 0.01%에 불과하다고 하니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우리의 관심분야인 통신분야나 컴퓨터 및 주변기기 공급이 전무하다는 것은 그 이유가 어디에 있는지 다시 한번 깊이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물론 국내 업체의 진출이 부진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미 조달시장의 관행상 신규 업체가 기존 업자를 제치고 거래를 트기가 매우 힘들고 미국 정부가 알게 모르게 자국기업 보호 및 국제수지 적자 축소 등을 빌미로 외국 기업의 참여를 꺼리고 있는데다 국내 업체들 역시 미 조달시장에 대한 정보 및 절차를 몰라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미국 정부 조달시장이 최근 크게 개방되고 있고 특히 전자상거래를 강화하는 추세여서 우리의 노력 여하에 따라선 얼마든지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구체적으로 규격과 품질만 확보할 수 있다면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이 현지의 보고 내용이다.
특히 전자·정보통신 등 첨단분야를 중심으로 국내 업체들의 브랜드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는 만큼 관련당국 및 업계에서 제대로 대응한다면 미국 정부 조달시장은 앞으로 우리의 큰 수출시장으로 부상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이같은 미국 정부 조달시장에 대한 관심제고의 필요성은 미국 시장에 국한된 이야기는 아니다. 예를 들어 지난해 한국과 캐나다간 통신장비 조달협상의 타결로 국내 업체들이 캐나다 연방정부의 통신장비 조달시장에 현지업체와 차별없이 참여할 수 있도록 길을 터주는 등 정부에서 해외 주요국의 정부 조달시장 참여를 적극 추진 또는 지원하고 있지만 과연 어느 정도 성과를 나타내고 있는지는 미지수다. 정확한 자료가 없어 알 수 없지만 여타 국가들에 대한 정부 조달시장 참여 역시 극히 부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 국가의 정부 조달시장 규모가 막대한데다 최근에 타결된 세계무역기구(WTO) 조달협정으로 인해 세계 각국의 조달시장이 전면 개방되는 추세여서 결코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
뿐만 아니라 주요국의 정부 조달시장이 전자상거래화 추세에 있는 만큼 해외 조달시장에의 적극적인 참여는 기업과 국가 전자상거래 체계의 조기구축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다.
미국은 오래 전부터 연방조달전산망(Facnet)을 구축, 전자조달에 착수해 왔고 오는 2000년 1월 이전에 모든 정부기관들이 2500달러 이상 10만 달러까지의 구매 가운데 적어도 75%를 이 조달전산망을 통해 구매할 계획으로 있다.
캐나다도 WTO 정부 조달협정에서 인터넷 등 최신 정보기술을 정부 조달업무에 이용할 것을 제안하는 등 미국과 함께 정부 조달부문 전자상거래를 주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캐다나는 2만5000달러가 넘는 정부 조달은 전자입찰 공고를 의무화하고 있으며 인터넷으로 입찰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조달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있다.
우리 정부 역시 정부 조달 법령을 정비해 오는 2001년부터 전자상거래에 의한 정부 조달을 의무화할 방침이다. 이처럼 주요국의 정부 조달 구매가 전자상거래화 추세에 있는 만큼 미국 정부의 전자·통신 조달시장에의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