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을 지속할수록 적자폭이 커지는 시티폰사업에 대해 이용자 보호대책 수립 후 조기 퇴출시켜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특히 시티폰은 올 정기국회 국정감사에서도 쟁점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 기간 중 적절한 이용자 보호대책에 대한 여론 검증을 거친 후 퇴출시키는 것이 해외 전략적 제휴를 앞두고 있는 한국통신의 내부 역량 강화에도 도움이 되고 통신사업 구조조정에도 플러스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한국통신의 내부 자료에 따르면 시티폰은 지난 95년부터 98년까지 모두 1955억원이 투자됐으나 사업 개시 후 현재까지 매출액은 873억원에 불과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누적적자폭은 눈덩이처럼 불어나 총투자비와 똑같은 1955억원에 이르고 내부거래 등 비현금비용을 제외하더라도 583억원의 결손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입자수 역시 98년 10월 44만여명(매출 25억원)이던 것이 올 4월에는 34만여명(15억원)으로 줄어들었고 다시 올 8월에는 20만명으로 절반 이하까지 감소했다. 한국통신은 오는 2002년께에는 이용 고객이 거의 사라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용형태를 보면 지난 7월 기준 23만여명의 가입자 가운데 기본료와 통화료를 모두 납부한 가입자는 7만여명에 불과하고 심지어 이용요금 미납부 가입자가 4만여명에 이르는 등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는 전체의 30%에 그치는 것으로 집계됐다.
시티폰은 정부의 통신정책이 실패한 첫 사례로 지난 98년 4월 민간사업자들이 퇴출을 강행, 시장원리에 의해 정리되는 듯했으나 정통부가 한국통신에 사업을 떠맡겨 지금까지 한국통신이 운용해왔다.
업계 전문가들은 『정통부와 한국통신이 이용자 보호대책을 마련한 후 시티폰을 퇴출시켜야 하며 추후 발생할지 모를 대리점 혹은 기존 이용자들과의 법정 분쟁은 사례별로 대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통신 역시 시티폰 퇴출을 단행할 경우 다양한 이용자 보호대책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통신은 우선 시티폰 가입자가 이동전화로 전환을 희망할 경우 이를 100% 무료 수용해주고 서비스 중단에도 끝까지 사용을 고집하는 가입자에게는 적절한 현금을 보상해주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또 피해보상을 요구하며 소송을 제기하는 대리점에는 일단 협상을 통해 원만한 해결을 추진하되 이같은 방안이 무산되면 법정의 판단에 따르는 안도 심도있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택기자 etyt@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