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인 논설위원
오는 2000년까지 남은 시간은 불과 70여일. 당장 눈앞에 닥친 일도 중요하지만 그냥 넘어갈 수 없는 것이 있다. 바로 2000년(Y2K : 컴퓨터의 2000년 연도인식오류)문제다.
새 밀레니엄을 앞두고 세계 각국은 Y2K문제 해결을 위한 막바지 점검에 한창이다. Y2K문제 해결을 위해 전세계 국가의 전문가들은 얼굴을 맞대고 해결방안 찾기에 한창 비지땀을 흘리고 있다. 미국 등 일부 선진국의 경우에는 Y2K문제 해결시한인 2000년이 다가오면서 벌써 최종 보고서를 내놓고 있기도 하다.
지난달 23일 미국 상원의 2000년문제특별위원회는 Y2K문제 해결과 관련한 최종 보고서를 공개했다. 단기적인 혼란이 예상되나 심각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게 이 보고서의 기본적인 결론이다. 다만 이 보고서는 일부 중소기업이나 병원, 수도사업자 등이 이에 대비를 충분히 하지 못해 컴퓨터가 오작동되더라도 그저 앉아서 지켜볼 수밖에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미국이나 유럽과 달리 Y2K문제 해결에 비교적 차분하게 대응하고 있는 일본에서는 그동안 분야별로 여러 차례 시뮬레이션(모의훈련) 등을 통해 대비해온 결과, 우려할 만한 지장은 없을 것이라고 결론을 내려놓고 최종 보고서 작성에 열을 올리고 있다.
그러면 한국의 Y2K문제 해결은 순조로이 진행되고 있는 것일까. 현재 국내의 Y2K문제 해결 진척상황은 수치상으로는 상당히 양호한 편이다. 정보통신부는 국가별 Y2K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해오고 있는 G2K(Global 2000 Coordinating Group)가 지난 9월말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린 제14차 정기회의에서 『한국의 Y2K 대응상태가 전반적으로 양호하다』고 판정했다고 밝혔다. G2K가 제출한 「국가별 Y2K 대응상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금융·통신·전력·운송·에너지·행정 등 6개 분야에서 만족스러운 대응상태인 「녹색등급」을 획득했다.
그러나 일부 Y2K전문가들과 외국기관 등은 국내의 Y2K해결 노력과 결과에 대해 여전히 회의적인 시각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오는 2000년까지 불과 70여일을 앞두고 있으나 많은 기업들이 Y2K문제 해결 과정때와는 달리 비상계획 수립과 모의훈련, 시나리오 작성 등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Y2K문제는 인류가 지금까지 한번도 겪어보지 못했던 새로운 사건인 만큼, 어느 누구도 완벽한 준비를 장담할 수 없다.
특히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정보시스템간에는 많은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미국과 일본의 경우 Y2K문제 해결보다 오히려 비상계획과 이에 따른 시나리오 작성에 힘을 쏟고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완벽한 Y2K문제 해결을 확신할 수 없는 상황에서, 비상사태 발생시 복구자원의 부족현상에 대비한 시나리오를 구성하는 것은 시급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또한 국내외 기관마다 국가별 Y2K대응 진척도를 엇갈리게 발표해 혼란을 야기시키고 있는 것도 해결진척도에 대한 신뢰성을 크게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와 함께 Y2K인증 남발에 따른 우려가 있다. 정부가 국내 Y2K문제 해결에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는 반면에 국내 Y2K 인증제도가 총체적으로 부실하게 운영되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이미 국회는 국내에서 「Y2K인증」이란 용어가 과대평가되고 있고 피심사기관과 심사기관의 결탁, 정부의 대책마련 미비 등으로 심사기관들이 부실하게 운영되고 있다는 자료를 내놓은 바 있다.
정부가 Y2K 인증심사 특성상 100% 해결을 보증하기 어려워 민간 자율에 맡기고 있지만 최소한의 가이드도 마련되지 않아 인증기관의 부실화를 조장하고 있다는 측면이 없지 않다.
Y2K문제는 우리에게 어떤 피해를 줄 것인가. 그 답은 아무도 알 수가 없다. 어떠한 예상조차 할 수 없기 때문에 그 공포감도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없다. 다만 Y2K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제대로 풀지 못할 경우, 인류에게 새로운 밀레니엄은 희망과 꿈이 아닌 재앙의 서막이 될지도 모른다. 지금까지 추진해온 Y2K문제 해결을 다시 점검해 만약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