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Y2K 긴급점검 (1)

 20세기의 마지막과 21세기의 시작을 알리는 대망의 2000년이 50일 앞으로 다가왔다. 그러나 인류는 새로운 밀레니엄에 진입하기에 앞서 「컴퓨터 2000년(Y2K)문제」 해결이라는 통과의례를 치르고 있다. 우리나라도 Y2K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정부와 민간업체들이 지난해부터 문제해결 작업에 적극 나섰다. 그 결과 주요 사회간접자본(SOC)분야에서 Y2K문제는 거의 해결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재 Y2K문제의 해결상황과 대책 등을 점검해 본다.

편집자

 Y2K문제가 사회적으로 여파를 미치는 분야는 특히 공공부문이다. 전력·통신·원자력발전·금융 등의 분야에 구축된 각종 전산시스템이 2000년을 인식하지 못하고 오작동을 일으킬 경우 커다란 사회적 혼란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정부는 97년 말부터 이같은 Y2K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기 시작했으며 지난해에는 각 부처 장관들이 참여하는 Y2K관계장관회의를 정기적으로 개최하는 한편 국무총리실 산하에 Y2K대책협의회를 구성하고 본격적인 문제해결에 나섰다. 정부는 국가기반시설의 핵심을 차지하고 있는 금융·전력·통신 등 13대 중점분야의 Y2K문제를 우선 해결하기 위해 5419개 중점관리 대상기관을 선정하고 문제해결에 착수했다.

 그 결과 지난 9월말 현재 13대 중점분야 가운데 원자력발전·환경·해운항만·전력/에너지·운송·수자원·통신 등의 분야는 Y2K문제가 100% 해결됐으며 금융·국방·행정기관 등의 분야도 98% 이상의 문제해결 진척도를 보였다.

 13대 중점분야 가운데 Y2K 문제해결이 가장 취약한 분야는 중소기업과 산업자동화설비 부문으로, 중소기업청이 Y2K해결을 독려하고는 있지만 우리나라의 모든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Y2K 해결작업에 나서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이며, 산업자원부가 담당하는 산업자동화설비 부문 역시 포항제철·한국중공업·한국종합화학 등은 99.9%의 해결을 보이고 있지만 중소기업의 산업자동화설비에 대한 Y2K 해결작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의료·산업자동화설비·중소기업 등 표본을 통해 진척도를 관리하고 있는 분야는 현실적으로 완벽한 대응을 할 수 없다고 보고 표본추출된 기관 이외의 기관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추진실태를 점검하고 있다.

 정부는 이와 함께 Y2K문제에 국제적으로 공동대처하기 위해 세계 주요 국가들과 공조체제를 유지하면서 국내 Y2K해결 진척상황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금융 등의 분야는 Y2K문제가 국가신인도 평가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실제 Y2K문제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잘못된 정보가 알려질 경우 금융권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민간부문에서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대외신인도 제고 및 외국업체들과의 교류 등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해 Y2K 문제해결이 적극 추진됐다.

 Y2K정부종합상황실의 한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들과 비교해볼 때 Y2K 진척도가 우수한 편에 속한다』며 『정부는 사회적으로 커다란 영향을 줄 수 있는 분야에 대해 모의테스트 및 현장점검 등을 실시, 2000년이 돼도 Y2K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만반의 대응을 하고 있으며 자체적으로 비상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민간부문과도 공조체제를 유지해 우리나라가 21세기 정보사회로 순탄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휘종기자 hjyoo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