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엑스(COEX)는 최근 전시장 임대료와 관리비를 각각 18.5%와 27.3% 올린다고 발표했다. 정부의 한자릿수 물가정책과 전면 배치되는 인상폭이다.
COEX의 전시장 임대료 인상은 전적으로 COEX 자의에 의한 것으로 누구도 이 문제에 대해 왈가왈부할 수는 없다. COEX의 횡포라는 생각이 들면 이곳을 이용하지 않으면 되기 때문이다.
문제는 국내에서 COEX만큼 잘 알려진 전시장이 없다는 점이다. 또 미흡하지만 부대시설을 그나마 갖춘 곳이 COEX기 때문에 전시회 주최 측에서는 이곳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COEX의 전시장 임대료 인상은 자칫 전시산업의 위축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전시회 주최측이 적자를 감수하면서까지 COEX를 이용하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된다면 기업홍보와 수출확대 등으로 날로 중요성이 더해지는 전시산업의 위축은 불을 보듯 뻔한 것이다.
물론 대안이 없는 것은 아니다. 전시회 주최자가 참여기업들에게 인상분을 떠 넘기면 된다. 그러나 IMF를 갓 벗어난 지금 20%가 넘는 추가비용을 기업에 떠넘기면서까지 전시회를 개최하겠다는 배짱있는 주최측이 과연 있을지 의문이다.
일본이나 대만, 싱가포르 등 우리 주변국가들은 컨벤션산업을 21세기 국가 전략산업으로 집중 육성하고 있다. 이들 국가에서는 민간자본까지 유치하면서 곳곳에 대규모 컨벤션센터를 건설하고 있다. 우리 정부도 늦게나마 컨벤션산업의 중요성을 인식, 21세기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ASEM 국내 유치와 대규모 컨벤션센터 구축 등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으며 민간 자본을 유치, 부산에 국제 규모의 컨벤션센터를 건설하고 있다.
정부는 컨벤션산업 육성에 혼심의 힘을 다하고 있는데도 불구,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COEX는 실리를 챙기기 위한 딴지걸기를 하고 있는 것이다. 신임 김영호 산업자원부 장관은 취임일성으로 첨단기술을 바탕으로 한 제조업 육성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COEX는 이날 전시장 임대료 인상을 발표했다. 정책과 실무가 겉돌고 있는 것이다. COEX와는 달리 KOTRA에서 운영중인 대치동 서울무역전시장이나 중소기업진흥공단의 여의도 중소기업전시장은 5년째 임대료 인상을 동결하고 있다. 제조업 발전과 직결되는 전시장 임대료 문제에 정부가 적극 개입해야 할 때다.
기술산업부·양봉영기자 byy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