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터넷정보센터는 지난해 말까지 국내 인터넷 이용자가 1086만명이라고 밝혔다. 이제 우리나라 인구 4명 가운데 1명이 인터넷을 즐기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비교의 잣대로 자주 끌어내는 일본보다도 인터넷 이용인구 비율이 높다고 하니 그 감회가 남다르다.
인터넷 인구 1000만명 시대가 갖는 의미는 상당하다. 정보교류나 엔터테인먼트·쇼핑 등 사람들의 일상생활은 물론 교육·문화·산업·금융·정치에 이르는 사회 전반 활동이 인터넷의 영향력 안에 들어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는 앉아서 다양한 생활정보를 입수할 수 있으며 각종 티케팅과 상품구매는 물론 주식 등 금융정보를 이용한 재테크가 가능하게 됐다. 산업체에서는 생산활동에 필요한 부품 등 자재 구매와 판매 창구로 활용하기 시작했으며 정치권에서도 중요한 여론수렴 창구로 인터넷을 활용하고 있다. 인터넷의 각종 커뮤니티들은 정치권은 물론 정부·산업체의 움직임을 감시하고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전자정부를 만들겠다는 연초 정부의 발표도 이같은 인터넷의 효용성과 위력을 인식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동안 인터넷 인구의 증가세는 가히 폭발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94년 국내 보급이 본격화된 인터넷은 첫해 15만명에 불과하던 이용인구가 95년에는 40만명, 96년에는 80만명으로 매년 2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의 경우 한해 동안 700만명에 가까운 이용인구가 늘어났다. 서비스 사업자들의 고속 인터넷 서비스가 시작되는 등 서비스 경쟁이 치열해지는 것과 함께 이용요금도 큰 폭으로 떨어진 것이 크게 작용했다. 지금의 추세가 계속된다면 2∼3년 안에 인터넷 이용인구는 현재 2400만명에 달하는 휴대전화 사용인구 수를 앞지를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무선 인터넷 보급도 보급이지만 인터넷은 초등학생에서 가정주부·노년층까지 이용인구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오히려 휴대전화보다 사용할 수 있는 인구폭이 넓은 것으로 평가되기 때문이다.
인터넷 이용인구 1000만명이 넘어서면서 문화·교육·정치·경제에 접근하는 가장 확실한 도구로 부각되고 있지만 수적인 성장만으로 인터넷시대의 정보강국이 될 수 없다는 점에서 보완해 나가야 할 부분들이 적지 않다.
우선 초등학생들을 포함한 국민의 다수가 안심하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인터넷 문화가 정착돼야 한다. 음란물로부터 미성년자들을 지켜낼 수 있고 사이버 폭력이나 신상정보 유출로 인한 개인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한 인터넷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점이다. 또 인터넷의 활용도가 국가경쟁력을 좌우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 과감하게 서비스 사용료를 낮추는 등 인터넷 서비스 혜택을 누구나 골고루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밖에도 콘텐츠의 다양화와 내실화도 필요하다. 우후죽순처럼 생겨나고 있는 인터넷 사이트들 가운데는 이용자들의 시간만 빼앗는 내용없는 사이트들도 많다. 국내 문화·산업·정치의 새로운 뿌리로 인터넷이 자리잡기 위해서는 탄탄한 콘텐츠를 갖추는 일이 시급하며 이것이 정보대국의 시발점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