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치러지는 대학입학 수학능력시험으로 온 나라가 시끌벅적한 가운데 수험생·학부모들의 처지와 비슷한 정보통신업체들도 수능이 남의 일 같지 않다. 차세대이동통신(IMT2000) 사업권 심사를 앞두고 초조하게 결과를 기다리는 예비사업자들은 자칫 재수(再修)의 기회조차 없을지 몰라 더욱 가슴을 졸이고 있다.
가장 관심을 모으는 것은 심사위원단 구성. 현행 규정상 심사위원단은 20명 이내다. 영업 및 기술분야 전문가 각 10명 이내에서 정부가 위촉한다. 심사의 객관성 및 공정성을 위해 정부는 학계·연구계·시민단체 등 유관기관 및 단체에 심사위원을 추천해 달라고 의뢰했다.
정부는 여기서 추천된 인사들을 대상으로 다음달 초 최종 인선작업에 나선다. 결정은 물론 안병엽 정보통신부 장관과 석호익 지원국장 선에서 이뤄진다. 정부는 심사위원 명단이 사전에 노출돼 업계 로비 등 불필요한 잡음이 일어나지 않도록 가급적 전격적인 인선을 펼칠 계획이다.
정부는 위원 인선 당일 안 장관이 직접 각 해당 인사에 전화를 걸어 허락을 받아내고 곧바로 일반과 격리 조치할 예정이다. 각 기관에서 추천한 명단 가운데 장관이 직접 통화, 최종 심사위원으로 위촉되는 과정을 30분 이내로 단축한다.
심사위원들은 수능 출제자들과 유사한 생활을 해야 한다. 일단 일반인들의 접근이 차단된 곳에서 합숙하면서 예비사업자들이 제출한 답안지(사업계획서)를 평가한다. 심사 장소는 호텔보다는 천안의 정보통신부연수원이 될 확률이 높다.
이들은 이 기간에 외출·외박은 물론 면회도 엄격히 금지된다. 심지어 전화도 특별한 사유, 예컨데 집안에 급작스런 상(喪) 같은 일이 일어날 경우 정통부 직원들의 입회 하에 지정된 장소에서만 가능하다.
심사위원들은 합숙 1∼2일차에 정보통신 일반현황 및 통신사업법 등 개괄적인 교육을 받게 된다. 그후 사업자별 심사를 실시한다. 정부는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심사 중간(12월 7일쯤)에 각 사업자별로 심사위원단을 대상으로 한 설명회를 갖도록 하고 이를 언론에 일부 공개할 계획이다.
21세기 재계 판도를 바꿀 IMT2000 사업자를 결정한 심사위원들은 정부의 사업자 선정 발표일인 오는 26일께 「해방」돼 집으로 돌아간다.
<이택기자 etyt@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