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기식사업권을 둘러싼 각 통신산업 주체들의 긴박한 움직임

비동기식 IMT2000사업권이 국내 통신시장의 양대축인 한국통신과 SK텔레콤으로 귀착된 이후 동기식사업권을 둘러싸고 혼돈에 가까울 정도로 미묘한 루머와 설들이 난무하고 있다.

통신시장은 현재 비동기사업권 허가 이후 LG의 통신서비스사업 포기, LG·삼성·하나로통신·포철·퀄컴의 동기식 그랜드 컨소시엄 구축까지 다양한 설과 루머가 확산되고 있는 상태다.

무엇이 사실이고 무엇이 루머인지조차 구분하기 어렵다. 그러나 그 무엇이든 동기식 IMT2000사업권 신청접수 이전에 최종 윤곽을 드러낼 것으로 예상된다.

◇ 정부=현재의 혼란은 정부의 동기식사업권 강행의지에서 비롯된다. 특히 정통부는 지난해말 사업권 경쟁에서 탈락한 하나로통신이나 LG의 단독신청을 탐탁치 않게 보고 있는 듯하다.

정부는 국내사업자, 외국사업자, 퀄컴, 국내 장비업체를 망라한 그랜드 컨소시엄에 사업권을 넘겨 동기식 경쟁력을 확보케 하고 이를 통해 한-중-일 벨트 및 미국과 연계시킨다는 구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러나 정통부는 또다른 한편으로 이같은 구상과는 별개로 한때 한국통신에 동기식의 한축일 수도 있는 LG텔레콤의 인수가능 여부를 타진했던 것으로 알려져 상황해석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 하나로통신의 변화=하나로통신은 동기식 IMT20000사업권에 대한 집착이 누구보다도 강했던 사업자다. 지난해말 동기식사업권에서 탈락한 이후에도 재도전 의사를 천명했고 정부가 동기식사업자허가 일정을 다소 늦추자 『정부가 LG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고까지 비난해왔다.

그러나 하나로통신의 동기식사업권에 대한 집착은 퀄컴의 지분참여 발표와 정부의 동기식 그랜드 컨소시엄 구상 이후 최근 많이 완화되고 있다.

하나로통신의 한 관계자는 『하나로통신은 동기식 IMT2000과 관련, 지금까지 10% 이상의 지분을 고집한 적이 없다. 그랜드 컨소시엄 구성에 필요하다면 대주주의 역할을 참여하고자 하는 기업에 내놓을 수 있다. LG든 삼성이든 그랜드 컨소시엄의 간판이 될 수 있다. 정보통신산업 주체들이 윈윈할 수 있으면 된다』고 한발 물러서고 있다.

◇ LG=비동기에서 탈락한 LG는 루머의 집산지다. 「현금창출이 최우선」이라는 구본무 회장의 연초 발언이 「통신사업부문 매각설」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물론 LG그룹의 공식 입장은 여전히 「LG텔레콤 매각설은 사실과 다르다. 동기식사업권에 대해서는 신청하지 않겠다」이다. LG의 이같은 공식입장은 「정부가 현재는 동기식사업권 허가를 강핼할 태세지만 언젠가는 동기식사업권을 비동기식으로 전환하지 않겠는가」라는 기대감을 전제로 한 것으로 분석된다. 동기식 IMT2000사업권에 참여하지 않겠다면서도 LG글로콤 조직을 남겨두고 있는 것이 이같은 해석을 뒷받침한다.

그러나 LG텔레콤 일부에서는 「동기식에라도 일부 참여해야 하지 않겠는가」라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같은 와중에 LG그룹은 12일 오전 구본무 그룹 회장과 통신관련부문 CEO들이 참석하는 통신전략회의를 열었다. LG텔레콤 매각이든, 동기식사업권 참여든 모종의 결정이 내려지지 않겠느냐는 주변의 시각과 달리 회의 참석자들은 이전과 다름없는 행보를 나타냈다. 아직은 정부의 태도변화만을 기다리고 있음을 시사한다.

LG의 한 관계자는 『모든 문제는 그룹 총수가 결정해야 할 사항이지만 당분간은 아무 일도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 삼성과 포철=일각에서는 동기식 그랜드 컨소시엄과 관련, 삼성과 포철의 변수도 거론하고 있다. 그러나 실현가능성은 의문이다. 삼성은 장비사업을 지향하고 있고 포철은 신세기를 포기한 이후 솔루션과 연관사업을 구상하고 있다.

더욱이 삼성과 포철이 한국통신과 SK텔레콤이란 거대공룡과 맞서 싸워 선전할 것이라고 스스로 확신할지조차 의문이다.

◇ 한국통신과 SK텔레콤=관전자 입장에서 상황을 지켜보고 있지만 속내는 복잡하다. 양사의 핵심 관계자들은 『그랜드 컨소시엄으로 동기식사업자가 선정되더라도 우리와 경쟁할 수 있겠는가』라고 반문하고 있다.

이들은 또 『그렇다고 국내시장이 양대체제로 가는 것이 과연 바람직한지에 대해 확신을 갖지 못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통신은 LG텔레콤 인수설이 불거지자 『시너지 효과도 없으며 부담만 될 뿐』이라고 가능성을 일축하며 『제3사업자가 생존기반을 갖기를 바란다』고 완곡하게 표현하고 있다.

<조시룡기자 srcho@etnews.co.kr 김상룡기자 srkim@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