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전자상거래 표준화 로드맵

 전자상거래 표준화 일정과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전자상거래 표준화 로드맵 완성은 기술의 표준화, 불충분한 콘텐츠, 시스템의 안전성과 신뢰성 부족 등으로 인해 위축됐던 국내 전자상거래시장에 재도약의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국가표준 부재로 야기됐던 민간기업간 또는 정부부처간 중복투자 문제를 해소하는 것은 물론이고 기업의 효과적인 기술전략 수립에도 적지않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전자상거래 표준화 로드맵은 그동안 전자상거래 관련 정책을 둘러싸고 첨예하게 대립해온 산자부와 정통부, 민간이 공동으로 설립한 전자상거래표준화통합포럼(ECIF)에서 마련한 작품이라는 점에서도 긍정적이다. 전자상거래 표준화 지침서는 관련 표준체계 정립과 기술개발 우선순위 및 개발일정을 제시함으로써 그동안 부처나 단체가 산발적으로 추진해온 각종 표준화 작업을 일관성 있게 진행, 혼란을 막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됐다.

 그뿐 아니라 표준화 대상별로 중요도와 시급성에 우선순위를 두고 선정한 △전자상거래 프레임워크 △비즈니스 모델 △전자카탈로그 △제품모델 △전자문서 △보안인증 등 6개 기술분야의 세부 표준화 계획은 전자상거래화를 추구하는 전통기업과 이에 필요한 기반기술을 제공하는 IT업체들에 중요한 가이드라인이 될 것이다. 또한 국내 전자상거래 환경개선과 전자상거래를 둘러싼 국가적인 헤게모니 싸움에서도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지금부터다. 전자상거래 등 첨단산업 분야의 경우 국제단체나 국가차원의 표준화 작업보다 민간업체나 민간단체들의 움직임이 더 빠르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인터넷 분야의 W3C, MEPG4 분야의 M4IF, 무선인터넷 분야의 WAP, 전자상거래 전반을 다루는 유럽의 ECE와 일본의 ECOM 등 민간기업과 단체가 중심이 된 민간포럼이 국제표준 제정에 미치는 영향은 절대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국제 전자상거래 환경과 표준이 우리 기업에 유리한 방향으로 구축되도록 지금부터라도 국제 민간 표준기구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

 민간포럼에 적극 참여해야 전자상거래시장 선점을 위한 주도권 경쟁에서 소외되는 불이익을 당하지 않고 아울러 국내 전자상거래 기술력 증진과 글로벌화를 촉진할 수 있는 최신 전자상거래 기술도 신속히 도입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아직도 의견이 분분한 전자화폐와 지급결제 문제도 조속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전자화폐와 지급결제 표준화 주체를 놓고 벌이는 산자부와 정통부 산하기관 간의 갈등과 알력이 이대로 고착돼 전자화폐 및 지급결제 표준화가 두 단체로 이원화될 경우 로드맵 완성의 의미가 퇴색하는 것은 물론이고 전자상거래 활성화에도 걸림돌로 작용하게 된다.

 온라인상에서 돈이 오가는 각종 상거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안전하고 신뢰성있는 지불대안이 관건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지불기술이 EC환경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다. EC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기반기술의 정점이 지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에 지불분야가 빠질 경우 사실상 EC 표준화작업은 속빈 강정과 마찬가지다.

 전자상거래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인프라 중의 인프라가 전자지불과 전자화폐라는 점을 깊이 인식해 유종의 미를 거두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