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의 IMT2000 딜레마

 LG전자(대표 구자홍 http://www.lge.com)가 LG텔레콤의 차세대이동통신(IMT2000) 독자행보로 남모를 속앓이를 하고 있다.

 LG텔레콤이 동기식 IMT2000 컨소시엄 참여의향서를 모집하는 등 제3통신사업자로 등극하기 위해 분주한 발걸음을 옮겨가고 있지만 ‘비동기식 IMT2000 장비 국산화 선두업체’를 지향해온 LG전자로서는 쉽게 발을 담그기 어려운 실정이기 때문이다.

 LG전자 한 관계자는 “이미 개인휴대통신(PCS)시장에서 서비스와 장비 분야를 모두 운영한 결과가 무엇인지 충분히 깨달았다”며 “만일 LG텔레콤이 동기식 IMT2000 사업자로 등장하면 LG전자의 장비판매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2세대 이동통신 시장에서 LG전자장비가 LG텔레콤과 경쟁관계인 서비스사업자들로부터 배타당하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LG전자는 지난해말 실시된 SK텔레콤과 KTF(한국통신프리텔)의 2.5세대 이동통신시스템 입찰에서 고배를 마셔야 했다.

 이에 따라 LG전자 실무인력들은 ‘LG텔레콤 최대주주(LG전자)이긴 하지만 IMT2000 사업방향을 장비전문업체에 맞춰야 한다’는 시각이다. 즉 서비스(LG텔레콤)보다 장비(LG전자)사업에 매진해야 한다는 주장.

 특히 비동기식 IMT2000 장비 상용화 속도가 막바지에 이른 시점에서 LG텔레콤이 동기식 사업권을 획득할 경우에는 국내 3세대 이통장비 시장진입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걱정하는 모습이다.

 그러나 “LG텔레콤 행보가 그다지 우려할 게 아니다”는 LG전자 관계자들도 있다. 정부(정보통신부)의 동기식 사업자를 만들어 내려는 의지는 곧 ‘국산장비 우대정책’에서 비롯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 이는 LG텔레콤이 동기식 사업권을 획득하는 것과 장비사업이 무관하다는 분석이다.

 LG텔레콤의 동기식 사업권 획득을 옹호하는 한 LG전자 관계자는 “현재 비동기식 IMT2000 시스템 개발에서 LG전자보다 앞선 국내업체가 없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며 “KT아이컴과 SKIMT가 2세대 시장에서처럼 무조건 LG전자 장비를 외면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과연 LG전자가 최대주주로서 LG텔레콤의 동기식 사업권 획득 작업에 힘을 실어줄 것인지, 장비업체로서 또다른 길을 찾을 것인지 주목된다.

<이은용기자 eyle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