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가정용PC 리사이클 도입

 일본이 2002년 가정용 PC의 리사이클 제도를 도입한다고 ‘일본경제신문’이 29일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경제산업성과 환경성은 이미 실시하고 있는 기업용에 이어 가정용에 대해서도 제조업체에 폐(廢) PC의 해체 처리와 재자원화를 의무화하고, 그 처리 비용은 소비자에게 부담시키기로 했다.

 이에 따라 경제산업성과 환경성은 다음달 5일 가정용 PC의 리사이클에 관한 합동 실무회를 발족해 올해 말까지 세부 규정을 마련하고, 공업 제품의 재자원화 의무를 규정하고 있는 ‘자원유효이용촉진법’을 개정할 계획이다.

 합동 실무회는 향후 가정용 PC를 회수해 부품·원자재를 재자원화하는 시스템을 검토하게 되는데, 데스크톱이나 노트북 이외 액정장치 등도 대상에 포함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실무회는 또 쟁점사항인 소비자가 PC 처리 비용을 어느 시점에 지불할지에 대해서도 검토할 예정이다. 노트북의 경우 거래가 판매점에서 주로 이뤄지는 특성을 고려할 때 소비자가 구입 시점에 비용을 지불하는 방법을 중점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에서는 지난 4월 시행에 들어간 가전 리사이클 제도의 경우 폐기시 처리 요금을 지불하도록 돼 있으나 2004년 도입 예정인 자동차 리사이클 제도는 신차 구입 시점에 지불하도록 정해놓고 있다.

 일본의 폐 PC 배출량은 98년 4만5000톤에서 2000년 8만톤으로 급증하는 추세다. 폐 PC의 80%를 점하는 기업용에 대해서는 이미 이용자가 폐기시 비용을 부담하고 제조업체가 처리하는 형태로 리사이클이 이뤄지고 있으며 자원유효이용촉진법에서도 제조업체의 회수와 재자원화를 의무화하고 있다.

  <신기성기자 ksshi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