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차세대 유망기술로 각광받고 있는 나노기술(NT) 산업화에 나선 것은 미래지향적인 바람직한 정책이라고 본다.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나노기술이 산업 전반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21세기 국가경쟁력의 척도가 되는 나노기술의 산업화를 통해 세계 1위 산업인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기술을 혁신하고 신산업 창출에 나서겠다는 정부정책을 환영하는 것도 바로 그런 이유에서다.
정보기술(IT)을 기반으로 하는 차세대 시장에서의 영향력 강화가 주목적인 정부의 나노기술 산업화전략은 3단계로 추진된다. 오는 2005년까지는 대학·연구소·기업의 시설 및 인력기반을 구축하고, 2005년 이후부터는 산업화를 본격화하면서 주요 산업의 경쟁우위를 지속시키고 2010년까지는 핵심기술 경쟁력을 미국·일본·EU 등 선진국 수준으로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이번 정부정책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소자·소재 등 분야별로 필요한 장비 및 시설을 갖춘 중소형 규모의 전문산업화센터(fab)와 분석·조립·가공·시제품까지 완벽하게 구현할 수 있는 대규모 장비와 시설을 갖춘 대형센터의 설치다. 또 벤처펀드를 조성해 초기 산업화단계 기업에 투자하는 한편 전자·통신 등 핵심 분야와 바이오·에너지·환경 등 전략 분야에 투자를 집중하는 것도 우리의 현실을 제대로 인식하고 내린 결정이라고 본다.
더욱이 이번 발표는 “나노기술 관련 인프라 구축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해 오는 2010년까지 총 1조3725억원(민간 투자자금 포함)을 투입하겠다”는 과기부의 ‘나노기술 종합발전 10개년 계획’에 이은 것으로 나노기술에 대한 우리 정부의 정책의지가 확고하다는 것을 다시한번 보여준 것이다.
사실 인류가 개발한 최첨단 현미경을 통해 겨우 그 실체를 볼 수 있는 원자나 분자를 조작해 신물질을 만들거나 제어하는 기술로, 그 응용분야가 무궁무진한 나노기술에 대한 투자는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나노기술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하면 손톱에 붙이고 다니는 컴퓨터, 사람 혈관 속을 돌아다니면서 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초소형 로봇 등 첨단제품의 실용화가 불가능하고 결국은 국가경쟁력 저하로 이어진다는 것을 감안하면 나노기술에 대한 투자는 우리의 의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미 미국·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나노기술에 대한 투자에 국가의 사활을 걸고 있을 정도다. 정보통신기술·생명공학기술·나노기술을 21세기 3대 중점과제로 선정한 미국의 경우 지난해 2월 ‘국가 나노기술 이니셔티브(NNI) 선언’을 통해 나노기술 관련 정책을 조정하고 연구개발능력을 집중화했으며, 일본은 전자·소재 등 비교우위 분야에 투자를 집중하고 있다. EU도 국가별 프로그램과 유럽협력네트워크 등을 통해 나노기술 지원에 나서는 등 총력전을 펴고 있다. 하지만 아직은 초기단계이기 때문에 월등히 앞서나가는 국가는 없다.
문제는 지금부터다. 정부의 실천의지에 국가의 미래가 달린 것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해 투자를 대폭 늘리는 한편 투자방향도 실익을 낼 수 있는 보수적 투자와 신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혁신적 투자를 병행해야 한다. 아울러 여러 학문 분야가 결합해야 성과를 낼 수 있는 나노기술·정보기술·문화산업기술은 산·학·연 연계체제 및 부처간 유기적 협조체제 구축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