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칼럼>SW개발정책, 남북이 공동 발표하자

 지난해 6·15 남북 정상회담은 우리 민족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희망을 안겨주었다. 그러나 그후 만 1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안타까움 그 자체다. 정상회담으로 남북문제가 고조된 그 당시 미국 상공인협회 제프리 존스 회장은 남북통일에 약 20년은 소요될 것이라고 예측했고 일본 상공인회의소 책임자인 고바야시는 3년이면 가능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리고 두 사람 모두 중요한 것은 독일의 경우와 같이 통일비용 조달이 가장 큰 관건이라고 주장했다는 점이다.

 우리 민족은 부존자원은 부족하나 타고난 근면성과 높은 교육열 덕으로 지혜로우며 소프트웨어 개발능력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쉽게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남북간에 경제협력의 핵심전략을 단순한 향락 위주의 관광협력과 한탕주의적인 대규모 공업단지 개발협력에서 작지만 실리적인 남북 소프트웨어 공동개발 협력으로 전환하여야 한다.

 남한의 정보통신(IT)기업들이 소프트웨어 개발인력난으로 허덕이자 정부는 미래 IT인력 수급을 고려해 소프트웨어 인력양성을 10만명 규모로 확대하겠다는 정책을 발표한 바 있다. 이미 북한도 김일성 주석의 교시를 통하여 80년대 초부터 소프트웨어 개발인력을 집중적으로 양성, 우리가 상상하는 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북한의 대졸 이상 소프트웨어 인력이 5만에서 7만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언론을 통하여 보도된 바와 같이 북한은 독립형 소프트웨어 패키지 개발에 강한 것으로 평가된다.

 예컨대 북한은 이미 워드프로세서·문서관리기·문서편집기·운용체계(리눅스 등)·네트워크관리시스템·계측제어·통신소프트웨어·의학시스템·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게임소프트웨어·그래픽소프트웨어 등을 개발하여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남북 소프트웨어 개발협력을 효율화하기 위해서는 먼저 북한의 소프트웨어 개발인력을 재교육해야 한다. 재교육 내용은 남한 IT기업의 소프트웨어 개발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객체개발기술(Rational ROSE, UML),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기술(CBD), 분산컴퓨팅기술(EJB, CORBA), 프로젝트관리기술(OOPM) 등이 있다.

 지난 5월 한중 접경지역인 중국 단둥에 남북한이 공동으로 설립한 하나프로그람쎈터의 경우 북한의 소프트웨어 개발인력을 재교육할 수 있는 최적의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또 최근 남한의 벤처기업들이 하나프로그람쎈터와 계약을 맺고 이곳에서 북한인력의 교육을 담당키로 한 것도 남북 소프트웨어 개발협력사업에 좋은 결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교육을 통하여 남북이 소프트웨어 개발협력을 원만히 진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즉 발주자(남한 IT기업)와 공급자(북한 소프트웨어 개발인력) 간에 개발표기법, 개발 프로세스, 인도해야 할 항목, 항목의 평가 및 검토기준, 개발도구 등에 대하여 협조가 가능하고 계약관리와 사후관리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남북한 당국은 남북이 소프트웨어 개발에 협력할 수 있도록 남북 소프트웨어 공동개발 정책을 입안하여 발표하고 필요한 인프라를 건설해야 한다. 우리 민족의 미래 사활이 걸린 남북 소프트웨어 협력에 새로운 지평을 열고 엄청난 규모의 통일비용을 조달하기 위한 대책을 강구해야 할 시점이다.

이남용 숭실대 컴퓨터학부 교수 nylee@computing.soongsil.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