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IT강국 중국은 지금]중국 광통신 시장

 중국의 광통신 산업은 선진 각국과 격차가 가장 적은 하이테크 기술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중국은 장비 생산분야에서 광섬유·광전송장비·광원(光源)과 측정기기·광전기기기 등을 망라한 완벽한 광섬유 통신산업을 형성하고 있다.

 자국에서 소모되는 광통신관련 제품의 80% 정도가 현지 생산되고 있으며 일부 제품은 수출이 되고 있다. 상하이벨(貝爾)·쥐룽(巨龍)·다탕·중싱·화웨이 등의 장비제조업체들은 세계 선진수준의 광 네트워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광섬유 생산업체만 해도 10개, 광케이블 생산업체는 150여개를 넘어서고 있으며 선전과 상하이 주식시장에 상장된 광통신생산업체만도 20여개나 된다. 중국은 광통신 핵심기술을 기반으로 광통신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는 몇 안되는 국가 가운데 하나. WDM 전송기술을 개발, WDM 상용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선진수준에 도달한 도시 네트워크 계열 다중업무 플랫폼, 광기기, 광 모듈 및 계열 디지털전송 칩 등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세계에서 가장 긴 인터넷 광전송망을 구축, 광케이블 기간선의 길이가 120만㎞에 달한다. 각 지방 통신업체들도 광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등 지난 98년 이래 중국은 종횡 8대 기간망을 구축, 전국 75% 이상 도시에 광 네트워크를 연결해 놓고 있는 등 광 네트워크 규모 면에서 세계적인 국가다.

 차이나텔레콤·차이나유니콤 등 통신업체와 전문 네트워크 업체들은 320G 초고속 중국망, 기간지능망, 중국 유선방송망 기간전송망 등의 기간 광섬유 네트워크 및 도시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또 국제 광통신표준 제정에 참여, 우한(武漢) 우전과학원에서 제출한 ‘IP OVER SDH’제안 및 ‘이더넷망’과 ‘1000메가 이더넷망’의 광케이블 운영 포트표준 제안은 세계통신연맹의 비준을 받는 등 국제 표준을 확보하고 있다.

 차이나텔레콤 공공망을 비롯해 다양한 전용통신망과 사용자 접속망의 빠른 발전은 중국 광통신산업에 기틀을 마련해주는 등 중국 광통신산업 발전의 원동력이 됐다. 오는 2005년 중국 광통신 제품 연 생산액은 900억∼1000억위안, 시장규모는 전세계의 12∼13%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제10차 5개년 계획기간 동안 정보화가 가속화되고 다각적인 네트워크 경쟁체제가 형성되면서 광섬유 사용분야가 접속망으로 확대됨에 따라 중국 광통신은 연평균 15∼20%의 성장세를 보일 전망이다. 또 지방 기간망 광대역 역시 폭발적으로 성장, 연평균 200%의 성장을 예상하고 있다.

 네트워크 구축의 진전은 광통신산업 발전에 직접적인 원동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향후 5년안에 중국내 광케이블 총 연장은 250만㎞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되면 초고속 광대역통신망, 현지망, 접속망과 유선방송망이 완벽하게 구축되고 중국내 모든 농촌이 연결된다. 또 광전송시스템, 광원과 측정기기, 광섬유 증폭기 등 광통신제품 시장도 100% 이상 성장할 전망이다. 중국에서는 통신업체들이 네트워크 확충 및 개선에 주력하면서 이들이 광통신제품의 주요 소비자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올해에는 차이나텔레콤의 현지망 및 접속망 구축(농촌 접속망 포함) 등으로 중국내 광통신제품의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오는 2010년 차이나텔레콤 접속망에 소요되는 광케이블 및 광섬유는 중국 국내 수요량의 50% 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차이나유니콤은 전용망을 확충하는 한편 총 연장 2만2000㎞에 달하는 10개 광케이블 기간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 현지망 구축도 광통신제품 수요를 촉진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차이나왕퉁은 IP업무와 글로벌그룹 및 국내 대형기업에 세계 포털정보서비스 제공에 주력할 방침인데 공공 광대역 초고속 네트워크(CNCNet)를 구축하고 있고 광 파장 다중접속기술, 1000메가 라우터 교환 및 1000메가 이더넷기술을 채용하고 있다. 1차 단계는 8000㎞가 구축되고 이후 단계가 진행되면서 더 많은 광제품을 필요로 하게 될 것이다.

 톄퉁(鐵通)회사도 모든 철도에 디지털 통신망을 구축하기로 하면서 광제품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차이나모바일도 광섬유통신제품을 계속 구입할 계획이다.

 방송·전력·군대·교통·석유화학 등 부문별 업종들의 내부 통신망도 확충하고 있어 역시 광섬유 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유선방송 부문에서 광케이블이 1만2000㎞에 달할 것으로 보이면서 이 부문 광케이블 수요의 지속적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