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베네수엘라의 `경제 구테타`

 “전자주민카드사업 입찰을 다시 실시하겠다는 베네수엘라 내무장관의 일방적인 선언은 국제계약상의 관례는 물론 현지 계약법을 무시한 일종의 ‘경제 쿠테타’에 해당하는 행동입니다.”

 올초 베네수엘라 전자주민카드 프로젝트에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현대컨소시엄의 안태운 대표(현대정보기술 이사)는 최근 베네수엘라 정부가 현대컨소시엄과 최종 사업계약을 체결하지 않기로 한 것은 상식적으로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처사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그는 지난달까지 베네수엘라 프로젝트에 대한 정식계약 체결을 자신하며 “베네수엘라 현지에서 쿠테타가 일어나 정권이 교체되는 비상사태가 일어나지 않는 한 이 지역 전자주민카드사업을 현대컨소시엄이 수행하는 사실에는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었다.

 하지만 최근 베네수엘라 현지 내무장관이 국회 반대를 이유로 현대컨소시엄과 사업계약을 체결하지 않겠다고 선언함으로써 안 이사가 상상했던 최악의 시나리오가 실제 현실로 다가왔다.

 이같은 사태에 대해 현대측은 “지난 6월 현대컨소시엄을 최종 사업자로 확정하는 현지 국회의 감사보고서가 이미 승인된 마당에 국회가 반대하고 있다는 내무장관의 주장은 터무니없다”며 황당해 하고 있다. 더욱이 계약 취소 사실을 최소 48시간전에 통보해야 하는 현지 계약절차도 완전히 무시했다는 것이 현대측의 주장이다.

 특히 현대는 “전반적인 상황을 고려할 때 이번 사태의 발생은 현직 루이스 미켈리나 내무장관의 정치적인 문제가 가장 큰 원인인 만큼 정당한 절차나 납득할 만한 이유없이 국내업체가 베네수엘라 내부 정치문제의 희생양이 될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현대측은 이번 베네수엘라 내무장관의 일방적인 돌출행동과 근거없는 계약취소에 따른 경제적 피해보상은 물론 향후 재입찰이 실시되더라도 다시 사업권을 따내고야 말겠다고 벼르고 있다.

 결국 이번 사태는 베네수엘라 정부의 국제적인 신인도 문제와 함께 국내 시스템통합(SI)기술의 해외 미개척시장 진출에 대한 가능성을 가늠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