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전화 요금 어디로 갈까.

 

 이동전화 요금이 어떻게 될까.

 이동전화 요금인하 여부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는 가운데 이동전화사업자들이 요금인하에 대비, 전략 수립에 나섰다.

 사업자들은 이달말 이동전화 요금에 대한 정보통신부의 방침에 따라 향후 전략을 결정할 예정. 이를 위해 사업자들은 요금인하와 관련된 다양한 시나리오를 검토중이다.

 ◇요금인하가 없을시=정책당국이 요금을 현재 수준에서 동결하게 되면 최저요금제 등을 다시 내놓는 등 선택요금제를 다양화하고 설비투자에 힘을 쏟을 계획이다.

 지난 9일 열린 공청회에서 소량 사용자의 요금 부담이 높다고 지적된 만큼 요금 인하가 없을 경우 1만원 수준의 기본료를 골자로 한 파격적인 최저요금 상품을 개발, 소비자의 불만을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또 요금 동결로 인한 수익증가는 경제 활성화를 위해 차세대 이동통신에 투자함으로써 생산경제 주체 역할을 강조한다는 전략이다.

 ◇표준요금 전격 인하 및 기본 통화 신설시=그러나 표준요금이 시민단체들이 요구하는 수준인 10% 이상 인하하게 되거나 기본요금에 따른 무료통화가 의무화될 경우 사업자들은 내년도 설비투자 비용을 줄이고 선택요금 제도를 현행대로 유지할 예정이다.

 한 사업자 관계자는 “현재 요금인하 여력이 없는 상황이라 표준요금인하 또는 기본 무료통화 제공시 설비투자 축소는 물론 그동안 소비자에게 제공되던 부가적인 혜택이 줄어들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과금단위 변경=과금단위를 현행 10초에서 1초로 바꿀 경우 2∼3% 요금 인하효과가 발생한다. 그러나 사업자들은 이같은 방식으로 요금인하를 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기술적 문제로 요금단위 변경에는 7, 8개월 이상 시간이 필요한데다 소비자가 요금인하 효과를 피부로 느끼기 힘들기 때문이다.

 게다가 대부분 사업자들이 3세대 서비스 시작과 더불어 과금단위 변경을 계획하고 있어 이번 요금인하 여부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고 있다.

 ◇소폭 인하와 선택요금 다양화=현재 사업자들이 가장 유력한 시나리오로 생각하고 있는 방식. 경기활성화가 경제 관련부처의 최대 과제이고 정통부도 지난 공청회에서 통신서비스 산업이 경제에 미치는 역할에 대해 충분히 강조한 만큼 10% 미만의 소폭 요금조정에서 멈출 것이라고 사업자들을 전망하고 있다.

 사업자들에 따르면 정통부가 이동전화요금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나 시민단체 등의 목소리를 감안해 요금을 소폭 인하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사업자들은 정통부가 사업자들의 입장을 감안해 요금인하 폭을 최소화할 경우 정통부의 입장을 지지하기 위해 현재보다 다양한 선택요금제를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생각보다 요금 폭이 커지면 시민단체 등이 기대하는 파격적인 수준의 선택요금은 제시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김규태기자 star@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