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은 올해 선출될 대통령이 가장 우선적으로 풀어야 할 과제로 인력양성을 꼽았다는 조사결과는 인력양성이 새해의 화두로 등장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난 2∼3년전 정보기술(IT)시장이 호황을 구가해 인력이 터무니없이 부족했을 때야 인력양성의 필요성에 대한 주장은 당연했다. 그렇지만 최근에는 불황으로 오히려 인력이 남아돌고 있다. 그런데도 인력양성이 IT인프라 확충이나 정보격차 해소보다도 더 시급하다고 내다보고 있는 것은 사안이 그만큼 심각하다는 것을 뜻할 것이다.
현재 우리 사회는 대졸 이상의 고급인력 실업률이 매우 높은 상태다. 따라서 기업은 마음만 먹으면 일할 수 있는 사람들은 얼마든지 구할 수도 있다. 우리 정부도 매년 적지않은 예산을 투입, IT 분야의 인력양성에 나름대로 주력해 왔다.
그런데도 전문인력 양성이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은 실업자 중에는 쓸 만한 인력을 구하기가 어렵고 또 인력양성을 한다고 해도 제대로 공급이 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은 또 이 사회의 인력수급구조 어디엔가는 막히고 꼬인 부분이 있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정보사회의 도래는 벌써 20여년 전에 예견돼 왔다. 해가 지나면서 IT시장은 폭발적으로 증가했으며 인력양성의 필요성은 끊임없이 제기됐다.
그런데도 지금까지 그러한 것이 해결되기는커녕 대통령이 최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는 것은 우리 사회가 인력수급을 원활하게 할 의지가 있는지를 의심케 한다.
IT 분야 경쟁력은 인력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또 IT 분야의 경쟁력이 곧 국가경쟁력과 직결된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따라서 부족한 인력을 공급하고 필요한 사람을 양성하는 것은 기업 경영자는 물론 국가의 중요한 책무로 볼 수 있다.
이제 정부와 기업이 인력을 양성하고 있는데도 그것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른다면 우리는 인력양성에 대한 종전의 생각을 바꿔야 한다.
먼저 공급 위주의 정부정책을 바꿔 국민 스스로가 자발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케 할 필요가 있다.
정부가 이제까지 해 왔던 직업훈련이나 해외연수 등으로 인력을 양성하는 것은 이제 한계에 달했다. 그것보다는 정부가 철저한 조사를 통해 미래사회에 대한 예측과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그것을 통해 적지않은 국민이 장래에 필요한 자질과 능력을 스스로 배양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또 하나는 과학자나 엔지니어에 대한 사기를 높여주는 일이다. 올해 대학 입시에서처럼 이공계대학 지원을 상대적으로 기피하는 사회 분위기에서는 전문인력이 양성될 수 없다. 국가가 과학이나 기술에 대한 국민의 이해를 높이고 그러한 분야 종사자들에 대한 처우를 개선할 때 고급인력 부족현상은 어렵지 않게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
기업체의 인재중시 경영도 필요하다. 지금처럼 인력이 필요하면 그때마다 임시방편으로 다른 기업에서 스카우트하거나 신입사원을 뽑는 것으로서는 진정한 인력양성이 이뤄진다고 보기 어렵다. 기업은 필요한 전문인력을 스스로 양성할 때 그 기업의 자산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