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전화가입자 3000만명 돌파 초읽기` 의미

 

 우리나라에 이동전화가 도입된 지 18년 만에 이동전화 가입자수가 3000만명을 넘보게 됐다. 보급률은 거의 63%에 이른다. 경제활동 인구 대부분이 이동전화를 쓰는 셈이다.

 3000만명은 단순 수치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업계에서는 이동전화 보급률 최대치를 3200만명으로 예상한다. 이동전화 가입자 시장이 거의 포화상태에 이른 것이고 이제 사업자간 가입자 확보 경쟁은 더이상 의미를 갖지 못하게 된다. 앞으로는 3000만명이라는 거대한 가입자를 기반으로 질적인 도약을 어떻게 달성해야 하는지가 업계 최대의 화두가 될 것이 분명하다.

 ◇3000만명이 되기까지=지난 84년 한국이동통신서비스(현 SK텔레콤)가 설립되면서 차량용 이동전화서비스가 시작됐다. 서비스 첫해 가입자는 불과 2658명. 서비스 3년 뒤인 87년에야 가입자 1만명을 넘어섰다. 휴대할 수 있는 이동전화가 선보인 88년부터 소폭의 증가세를 보여 지난 95년에 100만가입자를 돌파했다.

 이동전화가 급속히 대중화한 것은 시장경쟁 체제로 도입되면서부터다. 지난 96년 신세기통신(이후 SK텔레콤에 합병됨)이 등장, 국내 이동전화 시장은 경쟁구도로 돌입했다. 97년 9월 500만가입자를 확보했다.

 특히 지난 97년 10월 1800㎒대역을 사용한 PCS 서비스가 등장해 국내 이동전화 시장은 SK텔레콤·신세기통신·한국통신프리텔(현 KTF)·LG텔레콤·한솔PCS(KTF에 피합병) 등 5개 사업자가 품질·요금 등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이에 따라 500만명 돌파 8개월 만에 가입자 1000만시대를 열게 됐으며 지난 99년 2월 1500만명을 넘어서 99년 8월 2000만명까지 단숨에 내달렸다.

 그리고 지난 2000년 6월부터 이동전화 대중화에 큰 몫을 했던 단말기 보조금 지원이 금지되면서 가입자 증가세가 주춤했다. 그러나 무선인터넷 단말기, cdma2000 1x 단말기 등 신형 단말기 등이 출현하고 이동전화가 멀티기능을 갖추기 시작하면서 또다시 가입자는 꾸준히 증가, 3000만명시대를 맞이한 것이다.

 ◇3000만가입자가 갖는 의미=지난 80년대와 90년대 초중반 이동전화가 사치품으로 여겨지던 것과는 달리 이동전화가 생활필수품으로 완전히 자리잡았다. 명실상부한 보편적인 서비스 시대가 열린 것이다.

 특히 지난 2000년부터 이동전화는 음성통화의 수단을 넘어 무선 데이터 통신의 총아로 부상했다. 이동전화는 최근 금융결제 수단, 멀티미디어 기기로 진화를 거듭하면서 전국민의 생활을 모바일 환경으로 이끄는 첨단기기로 변신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동전화 가입자 3000만명의 진정한 의미는 한국 정보통신기술(IT)의 급격한 발전에 있다. 가입자 폭주는 우리나라 IT기술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일등공신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이제는 차세대 e비즈니스 환경을 앞당기는 핵심수단으로, 또한 IMT2000 등 우리나라가 세계 통신시장의 주역으로 떠오르게 하는 든든한 후원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질적 도약이 필요=업계가 이동전화 가입자의 최대치로 잡는 것은 3200만명. 새로운 변수가 없는 한 가입자는 양적으로는 더이상 오를 수 없는 고지까지 왔다. 따라서 그동안 양적 팽창에 치우쳤던 국내 이동전화 시장은 질적 도약을 위한 경쟁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금까지 이동전화 사업자에 대한 평가기준은 가입자 수였다. 앞으로는 이미 확보한 가입자를 얼마나 업그레이드시키느냐가 관건이다.

 사업자들은 콘텐츠 확보가 사용자를 e비즈 대열로 이끌어내는 지름길이라 여기고 엄청난 양의 콘텐츠를 만들거나 연결시켰다. 그러나 대부분의 무선인터넷 사용자는 문자메시지, 벨소리 다운로드 등을 사용했을 뿐이다. 따라서 이제는 가입자가 이동전화를 단순히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통해 가입자의 삶에 실질적인 이익을 줄 수 있도록 사업자가 변해야 한다. 원활한 e비즈니즈의 환경 조성을 통해 사업자는 수익을 얻고 사용자는 업무효율화 등을 만들어줌으로써 상호간 윈윈할 수 있도록 하루빨리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의 지적이다.

 또 통신사업자는 국내에서의 운용기술을 활용, 사업영역을 해외로 넓혀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통신사업자가 국내 통신장비 업체 및 벤처업체를 대신해 해외로 진출하는 IT종합무역상사로 거듭나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김규태기자 star@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