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SI수출 확대에 총력을

정보통신부가 시스템통합(SI)시장 활성화를 위해 발벗고 나섰다. 정부가 마련한 ‘SI 해외진출 활성화 기본계획’을 보면 SI산업에 대한 정부의 인식이 다른 어느 때 못지 않게 의욕적이라는 점을 들 수 있다. 또 SI산업을 그동안 해외 전문인력을 파견하는 단순 소프트웨어 수출 정도로 간주해 오던 기존의 고정 관념에서 벗어나 외화획득을 위한 수출 주력으로 삼겠다고 시각교정을 한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다. 특히 범정부 차원에서 SI업체들의 해외시장 개척을 돕기로 한 것은 의미가 상당하다고 본다.

 정부는 앞으로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한국전산원·소프트웨어산업협회 등과 협의해 해외시장을 개척하고 해외 대형 프로젝트에 참가하는 민간기업들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한다. 전략지역으로 떠오르는 아시아·유럽 등 성장 유망지역을 발굴해 민관합동 시장개척단을 파견하고 해외 정보화사업에 대한 국가 차원의 컨설팅도 지원한다는 것이다. 전략국가의 주요 인사를 초청해 우리 정보기술(IT)을 소개하는 방안도 추진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우선 IT 해외마케팅 경험이 많은 전문인력을 집중 육성하고 교육비의 50%를 지원하기로 했다. 또 부가가치가 높은 미주·아태·유럽 등지에 마켓채널을 구축하고, 해외 현지 전시회에도 참가할 예정이다. 이밖에 한국전산원·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소프트웨어산업협회 등 관련기관으로부터 프로젝트 추진사항과 애로사항을 정기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물론 현재 가동중인 SI해외진출협의회의 활동도 독려한다는 계획이다.

 우리는 정부의 이런 계획이 차질없이 추진돼 SI산업이 기존의 고정 관념을 깨고 수출 주력산업으로 부상해 해당업계는 물론 국가경제 성장에 크게 기여해 주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하지만 해외시장 개척은 이런 정책의지만으로 가능한 것이 아니다.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과 함께 기업들이 기술개발·품질향상·해외마케팅 등 다각적인 노력이 병행될 때 수출확대는 기대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우선 현재 유명무실한 SI해외진출지원협의회를 활성화하고 해외시장에서의 고질적인 국내업체간 덤핑경쟁을 근절토록 해야 할 것이다. SI협의회는 외국 대형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수주하기 위해 구성했으나 활동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또 국내의 내로라하는 업체들이 특정 지역의 대형 국가 프로젝트를 놓고 벌이는 이전투구식 수주전과 덤핑경쟁도 심각한 문제다. 해외시장에서 국내업체간 정보공유는 기대조차 하기 어렵다고 한다. 이런 상태라면 세계 각국의 대형 프로젝트 수주와 관련해 정부 주도로 논의를 해 봐야 별다른 대책이 나올리 만무하다. 국내업체간의 덤핑수주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아무리 좋은 정책을 내놓고 해외시장을 개척해도 성과를 거두기 어렵다.

 한편 요즘 멕시코나 베네수엘라 등이 추진하고 있는 국가행정망사업을 해당 기업들이 공조해 사업을 수주하는 것도 추진해 봄직한 일이다. 외국의 대형사업을 수주할 경우 회복기에 접어든 국내 IT산업이 재도약하는 데 지렛대가 될 수 있다. 나아가 해외시장에서 해당기업간 상호협력해 외국의 국가행정망사업을 수주할 경우 SI분야에서 기업간 협력의 모범사례가 될 수 있다.

 이번 정부의 계획이 해외시장에서 그간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나아가 SI산업이 수출 주력종목으로 부상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