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논단>SI 분야서도 신화 창조하자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장 grok@etri.re.kr

 

 정보통신부는 올해 업무보고에서 우리나라 정보화 추진과정에서 쌓은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해 CDMA·초고속인터넷·시스템통합(SI) 등 10대 전략품목을 발굴, 집중 지원함으로써 수출 510억달러, 무역흑자 150억달러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SI산업은 전략과 기술·서비스가 유기적으로 관련성을 가질 때 세계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종합예술적인 선진 산업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SI산업 활성화를 위해 정보화 세제지원과 중소업체 육성, SW계약제도 개선, 업체 전문화, 인력양성 및 해외진출 지원 등 각종 지원방안 등이 마련돼 있다.

 정부는 또 전자정부 구현과 관련한 11대 과제를 금년 말까지 완결함과 동시에 국방정보화, 지방자치단체 정보화, 사회간접자본 정보화 등 대규모 프로젝트를 추진할 예정이다. SI 해외진출 활성화는 국산 정보시스템을 수출용으로 특화시킨 한국형 SI정보시스템이 정부와 업계 공동으로 마련될 전망이다. 한국형 SI정보시스템은 주민전산·체신·특허·금융정보시스템 등 해외에서 성과를 얻고 있는 국산 정보시스템을 분야별로 선정해 특화시킨 것을 말한다. 정부는 올해 공공 분야 특화 시스템을 선정해 해외진출을 타진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키로 했으며, 내년부터는 금융·통신 분야로도 확대할 계획이다. 민간 부문에서도 다양한 SI산업 활성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정부와 ETRI·소프트웨어산업협회·한국SI연구조합·한국SI학회 등 SI산업 관련 기관 및 단체들이 구체적인 지원책 마련과 제도 개선에 착수했다.

 SI산업이 차세대 주력 수출 상품이 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정부의 SI산업 조정자 역할이다. 외교적인 지원을 통해 해외 SI 프로젝트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국내 업계를 보호할 수 있는 공식적인 창구 역할 등이다.

 둘째, 제도의 보완이다. 정부가 중소 SI 사업자의 수익을 확보하고 시장을 공정하게 운영하기 위해 시행하려는 중소기업제한경쟁입찰제도와 조정 및 분쟁 해결제도는 앞으로 구체적인 정책입안 과정에서 SI사업자들에게 더욱 실효성이 있는 방향으로 입안돼야 한다.

 셋째, SI사업자들의 체질 개선이다. 국내 주요 SI사업자들은 주로 대기업의 자회사로 모기업 관련 매출이 전체의 평균 4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내부 매출에 집중되어 있다. 이러한 매출구조를 개선하고 시장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해외 진출을 위한 소프트웨어 및 관련 프로젝트에 관한 국제적 소프트웨어 인증은 사업자들이 필수적으로 보유해야 할 항목이다. 특히, 북미 지역 혹은 유럽·중동 지역의 진출을 위해 소프트웨어 개발 및 프로젝트 진행 인증인 CMM(Capability Maturity Model), SPICE(Software Process Improvement & Capability dEtermination) 등을 획득하여 국제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하다.

 넷째, 인력 양성이다. SI산업은 소프트웨어 개발 및 구축이 가장 핵심적인 분야인 만큼 이에 대비한 인력 양성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특히 중장기적인 안목에서 이공계 기피 현상은 기성세대가 반드시 풀어야 할 숙제다.

 다섯째, 소프트웨어 기술 및 관련 하드웨어에 대한 원천기술 확보다. CDMA 종주국으로 관련기술을 통해 지속적으로 수출을 증대시켰던 우리의 성공 경험처럼, SI원천 기술의 확보는 지속적인 수출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필수사항이다. 인도는 우리의 철저한 벤치마킹 대상이다.

 한국의 CDMA 및 초고속 인터넷의 발전상은 세계 각국의 모범사례로 알려져 있다. 이런 점에서 한국은 CDMA 및 무선망 관련 기술의 종주국임과 동시에 초고속 통신망 기반의 전자정부 구현을 가능하게 했던 SI기술 또한 세계 최고로 발전시켜야 한다.

인류 역사상 유례없는 신화를 만들어 냈던 한국의 CDMA 쾌거와 초고속 인터넷 성공 신화를 SI사업에서도 창조할 수 있도록 국민적 역량을 모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