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비젼 대표이사 장혜정 momo@evision.co.kr>
내가 자주 가는 김밥집이 생겼다. 가격을 단돈 1000원으로 내려서 소위 말해서 그 동네에서 히트를 치고 있었다. 보통 김밥은 2500원 이상을 주어야 먹을 수 있는데 이 집은 박리다매를 하여 원재료 값도 줄였고, 늘어난 손님 덕분에 다른 메뉴들도 불티나게 팔리고 있었다.
김밥집 바로 옆에는 족발집이 있다. 보쌈이며 족발이며 그런 것을 파는 집이다. 그런데 옆집의 김밥집이 돌풍을 일으키니까 메뉴판을 바꾸었다. 족발, 보쌈에 김밥, 라면으로. 그래서 족발집도 아니고 김밥집도 아닌 어정쩡한 가게로 변해 버렸다. 족발과 같이 누워 있는 김밥은 상상만 해도 진짜 좀 심하다. 당연히 손님은 전보다 없어졌다. 김밥집이 잘되니까 그것이 배가 아파 한 행동이, 결국은 족발이라는 자신의 주종목을 흐리게 하여 아무것도 얻은 것이 없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배 고픈 것은 참아도 배 아픈 것은 못참는다고 하니 말 다했다. 남이 잘되는 것 같아 보이면 자신의 장기와 특성을 버리고 따라하는 습성이 결국 자신을 망치게 할 수도 있다. 기업을 가까이 들여다 보면 이런 경우가 흔하다. 조급함과 배아픔으로 기업의 고유한 맛마저 잃는다.
다른 회사가 고객의 요구를 번개처럼 따라잡아 히트를 치면 자기네는 한술 더 떠서 한번에 고객의 요구를 전부 반영하겠다고 덤빈다. 이것저것 한번에 다 섞어 버려 결국은 불쌍하게도 고객이 만지기에는 너무 어려운 물건들이 되어버린다. 가격대도 마찬가지다. 기업이 전략 없이 스스로 중심을 잃게 되면 전 가격대를 다 망라하고 싶은 유혹에 빠진다. 낮은 가격대도 차지하고 싶고, 높은 가격대도 차지하고 싶어한다. 그래서 이것저것 다 만들다 보니 제품의 가짓수만 늘고 ‘전 가격대 전 품목’을 갖춘 어정쩡한 기업이 된다.
이렇게 기업이 자신의 갈 방향과 고유가치를 잃고 헤매는 조급함을 제일 먼저 고객이 알아차린다. 더 이상 ‘족발집에 김밥’같은 기업이 안되도록 스스로를 중심을 잡고 서는 자신감이 필요한 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