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에서도 뒤늦게 3세대 이동통신사업자 선정과정에 돌입한 아일랜드가 통신사업권 매각에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컴퓨터비즈니스리뷰는 아일랜드 정부가 지난달 말 4장의 3세대 이동통신사업권을 매각하기 위해 각 업체로부터 경매신청을 받았으나 단지 3개 업체만 이에 응함으로써 사업권 매각에 진통을 겪고 있다고 보도했다.
경매에 참여한 3개사는 영국의 보다폰과 브리티시텔레콤(BT)의 이동통신 자회사 MMO2, 홍콩계 영국기업인 허치슨왐포아 등인 것으로 밝혀졌다. 당초 참여가 예상됐던 아일랜드의 메토(Meteor)와 프랑스의 오렌지 등은 일단 경매를 포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일랜드 정부는 현재 두 종류의 이동통신사업권을 매각할 방침이다. 앞으로 20년 동안의 사업권료가 5000만유로로 비교적 저렴하게 책정된 A형 사업권의 경우 통신업체로 하여금 아일랜드 전체인구의 최소 80% 이상을 커버할 수 있는 서비스망 구축을 의무화하는 등 강한 규제를 두고 있다.
반면 통신업체의 서비스망 구축의무를 인구의 최소 55%까지 낮춘 B형 사업권은 사업권료가 1억1400만유로로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됐다.
이번 경매에 참여한 3개 업체는 모두 1장밖에 없는 A형 사업권을 구매하겠다는 의사를 피력했다. 그러나 아일랜드 정부가 3장의 사업권을 판매하기로 계획한 B형의 경우 보다폰과 MMO2 두개 업체만이 흥미를 보이고 있어 매각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경매 참여업체들이 A형 사업권에 관심을 보이는 것은 무엇보다 이 사업권을 확보할 경우 아일랜드의 3세대 이동통신시장을 주도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다.
또한 이들이 이미 아일랜드 이동통신시장에 상당한 연고권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추가적인 서비스망 구축 등에 많은 비용이 들지 않으리라는 계산도 작용하고 있다. A형 사업권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점도 매력이 아닐 수 없다.
실제로 유럽의 이동통신업체들은 지난 수년 동안 새로운 네트워크 구축 및 3세대 통신사업권 획득 등을 위해 무려 1600억달러의 자금을 쏟아부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로 인해 상당수 업체가 과다한 부채를 떠안게 된 것은 물론이다.
최근 부채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는 프랑스텔레콤 산하의 오렌지가 이번 아일랜드의 3세대 이동통신사업권 경매에 참여하지 않은 것은 이런 점에서 매우 시사적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아일랜드 정부는 이번 통신사업권 매각과 관련한 추가 대상업체 물색을 위해 미국의 웨스턴와이어리스 등 다양한 기업과 접촉중인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