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SK텔레콤이 교환사채(EB)를 추가인수해 지분율을 11.34%(EB포함)로 늘리자 KT가 의도 파악과 아울러 대응방안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KT 관계자는 21일 “KT의 경영권 방어의 안정성에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며 “앞으로 있을지도 모를 SK텔레콤의 KT경영권 장악을 저지하기 위해 다각도의 방안을 강구중”이라고 밝혔다.
KT가 검토하는 방안은 크게 세가지다. 일단 KT가 SK텔레콤의 지분을 10%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방법이다. 현재로선 이 방안이 유력시된다. 두 회사가 서로 10% 이상의 지분을 확보하면 양쪽 모두 의결권이 상쇄되는 상법상 상호출자주의 의결권 제한 규정을 이용하는 것이다.
KT로선 SK텔레콤의 지분 0.73% 이상을 시장에서 확보하게 되면 SK테레콤의 KT에 대한 의결권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KT는 이 방법을 당장은 쓰지 않을 계획이다.
오는 7월 임시주총에선 정부가 마지막 의결권을 행사한다. SK텔레콤의 의결권은 그 다음 주총에서 효력이 생긴다. 다음 주총까진 시간이 있다. 그동안 SK측의 진의를 파악해가며 SK텔레콤 지분확보 여부를 결정해도 늦지 않는다. 소요자금 마련도 문제다.
두번째 방법은 이번 주총에서 전환우선주 발행과 관련한 조항을 정관에 삽입하는 방안이다. KT의 현 정관에는 이 조항이 없다. 위협적인 순간이 올 때 제3의 특정주주에게 우선 배정해 견제세력으로 삼는다는 얘기다. 정부도 이 방법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분 3% 이상으로 정한 사외이사 추천권 부여 기준을 완화하는 방법도 있다. 이 방법은 경영권 확보와 다소 거리가 있으나 견제장치로선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번거로운 절차 없이 정부 결정만으로도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정부 관계자 역시 이를 긍정적으로 고려중이라고 밝혔다. LG전자가 유력한 대상으로 손꼽힌다.
KT 관계자는 “SK텔레콤의 진의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지 못해 상황판단이 서지 않는다”며 “그러나 정부와 KT는 경영권 방어와 이를 통한 전문경영인체제 구축을 위해 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동원할 태세가 돼 있다”고 말했다.
<박승정기자 sjpark@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