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진 삼성SDS콘텐츠비즈니스사업부장
IMF 구제금융 시절을 겪었던 우리나라 경제는 ‘벤처’라는 새로운 형태의 기업을 시장에 선보이며 중소기업 육성정책을 표방하기 시작했다. 물론 선진국의 경우에도 정부가 나서 벤처기업을 지원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처럼 벤처인증제도까지 마련하면서 정책적으로 벤처기업 지원에 나선 것은 찾아보기 힘든 사례일 것이다.
하지만 국가차원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수익모델의 부재, 비도덕적 자금운용 등 일부 기업의 몇가지 사례들은 벤처의 의미를 퇴색시켰고 그후로 많은 기업들이 벤처문화를 제대로 꽃 피우기도 전에 사라져 버리기도 했다. 무엇보다 아쉬운 것은 아직까지 국내에서 성공적 펀딩 스토리를 제외하고는 벤처사업의 정확한 비즈니스 방정식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같은 잣대로 비교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지만 대기업과 벤처기업은 모두 경영·인사·재무·생산 등 모든 업무가 복잡하고 미묘하게 톱니바퀴처럼 맞물려 돌아간다는 점에 있어서 그 규모의 차이가 있을 뿐, 유사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 기업에 기초가 정비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안정적인 기업경영이란 요원한 것이다. 그러한 관점에서 벤처와 대기업과의 ‘상생’이야 말로 한국에서 펼칠 수 있는 가장 힘있는 벤처 비즈니스 방정식이 아닐까 한다.
최근 대기업은 핵심기술을 제외한 사업부문은 아웃소싱을 통해 해결함으로써 ‘오버헤드’를 줄이는 감량경영을 추진하고 있다. 이런 대기업의 경영혁신은 벤처기업과 전략적 제휴 또는 사내 벤처육성 등을 통한 분사형태로 가시화되고 있으며 풍부한 자금력을 동원한 자본투자를 통해 이를 실현하고 있다. 대기업은 정확한 가치평가를 통해 벤처기업에 투자하고 오랜 경험을 통해 축적된 기업운영의 노하우 즉, 기획·마케팅·재무 등 기본적인 부분과 자사 인프라나 거점을 이용한 해외진출을 지원하며 벤처기업은 대기업의 동반자로서 공동사업을 추진하거나 대기업이 추진하기 힘든 빈틈을 메워주는 ‘악어와 악어새’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어찌보면 현명한 비즈니스인 것이다.
하지만 대기업과 벤처와의 공동사업은 초기 의도와는 다르게 전략적 목표와 방향성의 변질, 지배구조에 대한 민감한 반응 등 내적인 요인과 지분구조에 따른 계열사 편입, 출자총액 제한 등 정부의 각종 규제로 인한 투자 축소, 대기업의 벤처 투자에 대한 왜곡된 시각 등 외적인 요인에 의해 가시적인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어 결국 대기업이 단순 투자자로 전락해 버리곤 한다.
보통 대기업 투자의 궁극적인 목적은 ‘수익’에 있고 이에 따라 당연히 대기업과 벤처기업은 ‘갑을관계’가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양자 모두 자기 기준과 관점에서만 접근한다면 서로에게 진정 도움이 되는 파트너십을 유지하기 힘들다. 이에 따라 대기업이 진정으로 중소기업 육성에 일조하고 국가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정부는 투명하면서도 유연성 있는 투자를 지원할 수 있는 제도를 정비해 주는 것도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대기업은 장기적 관점으로 우수 벤처에 투자하면서 시장과 벤처 사이의 자금적 완충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정치와 여론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우리나라 자금시장에서 대기업은 비교적 중장기적으로 투자를 유치할 수 있는 파트너라고 할 수 있다. 또 오랜 사업경험을 토대로 벤처 비즈니스모델을 검증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도 벤처업계 성장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해외 공동사업 진출도 대기업이 벤처기업과 추진할 수 있는 좋은 상생모델이 될 수 있다.
앞으로 대기업과 벤처기업의 공동사업은 종전 단순투자 수준에서 아웃소싱을 통한 기업구조 개선과 M&A, A&D, 분사 및 사내벤처 장려 등 체계적이며 시스템화된 모델을 수립하면서 발전적인 상생을 꾀하는 방향으로 전환해야 한다. 더 나아가 대기업이 그랬듯이 벤처기업에도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