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단상]안전불감증과 지식정보사회

 ◆<한국무역정보통신 신동오 doshin@ktnet.co.kr>

 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비해 안전사고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 민족의 민첩성과 신속성이 ‘빨리 빨리’라는 조급성으로 변질된 것은 고도성장기를 겪으며 남은 부작용이 아닌가 싶다.

 이런 조급성은 기본의 부실로 이어지고 나아가 대형 사고를 일으키는 원인이 됐다.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많은 사고가 천재(天災)가 아닌 인재(人災)임을 느끼며 ‘언제까지 우리가 눈앞의 조그만 이익때문에 보다 큰 것을 잃으며 살아가야하나’라는 생각에 안타까울 따름이다.

 안전불감증은 우리 사회가 정보사회로 넘어가면서도 그대로 남아있어 고도의 지식정보사회로의 발전에 장벽이 되고 있다. 우리는 정보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많은 인적·물적투자를 해왔지만 안전하고 건전한 사이버 환경을 만들기 위한 노력이 부족하지 않았나 싶다.

 올 6월에 사상 최고의 해킹 피해가 있었다는 한국정보보호진흥원의 발표는 결코 이런 피해가 남의 일이 아니며 여전히 우리 사회가 안전하지 않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특히 우리나라의 보안 인프라는 열악하기 그지없어 국외에서 국내를 거쳐 다시 국외로 해킹되는 사례가 많다. 때문에 우리나라는 ‘국제 해킹의 경유지’라는 불명예스러운 비난마저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같은 피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물리적인 시스템과 소프트웨어가 아니라 보안에 대한 인식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다행히 최근 정통부에서는 ‘안전한 e코리아(Secure e-Korea)’를 만들기 위한 ‘중장기 정보보호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이 대책안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기술개발과 산업발전에 초점을 맞춰온 기존의 정책들에서 발전해 해킹·바이러스와 같은 사이버테러로부터 개인정보보호, 전자거래의 신뢰성확보를 위한 전자서명 이용 활성화, 정보통신윤리 확립 등이 포괄적으로 들어있다는 것이다.

 부디 이러한 정책들이 활성화돼 향후 우리가 만들어가는 지식정보사회에서는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일이 적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