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선방송사업자(SO)의 지분을 확보하기 위한 TV홈쇼핑업체의 과도한 경쟁이 위험수위를 넘어섰다는 지적이다. 주무부처인 방송위원회의 잇따른 경고에도 불구하고 좀처럼 진정기미가 보이지 않자 급기야 공정거래위원회까지 나서서 홈쇼핑업체의 SO 지분 현황을 조사하기로 했다. 공정위는 이번 조사를 통해 지분을 가졌다는 우월적인 지위를 이용해 해당 SO로부터 좋은 채널을 배정받는 등의 방법으로 공정경쟁을 저해했거나 시장독점성을 확보했는지의 여부를 면밀히 검토할 방침이다.
이같은 방침이 나오기 전부터 홈쇼핑업체의 일방적인 ‘SO 짝사랑(?)’은 이미 공공연한 비밀이었다. 홈쇼핑업체는 채널 배정권을 가진 SO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보이지 않는 신경전을 벌여왔다. 공개적인 지분인수 이외에도 시설투자·자금대여라는 명목으로 SO와 밀월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공을 들였다. 아예 SO 영업만을 전담하는 미디어전략팀이 구성됐을 정도다.
문제는 홈쇼핑업체의 SO 투자에 따른 폐해가 소비자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홈쇼핑업체는 과도한 투자비용을 만회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제품가격을 인상하려 할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출혈경쟁의 불똥이 엉뚱한 소비자에게 튀게 된다. 홈쇼핑의 과도한 SO 지분인수 역시 석연치않기는 마찬가지다.
이미 SO는 상당한 자금여력까지 가진 터다. 시청료라는 탄탄한 수익원을 확보해 외부 자금조달 없이도 생존하는 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반면 케이블방송사업의 사활을 좌우한다는 개별 프로그램업체(PP)는 만성적자에 시달리고 있다. 굳이 홈쇼핑업체의 여유자금(?) 투자처를 찾자면 PP라는데 이견을 달 사람은 없다. 하지만 별다른 이해관계가 없는 홈쇼핑업체가 PP에 투자할리는 만무하다.
어느 때보다도 정부의 역할이 중요한 것도 이 때문이다. 정부도 SO와 PP, SO와 홈쇼핑, 홈쇼핑과 PP간의 복잡하면서도 미묘한 구조를 모르지 않는다. 이런 상황에서 주무부처인 방송위가 지금처럼 힘 없는 ‘종이호랑이’라는 오명을 벗지 못하고, 공정위가 부처 힘겨루기 차원에서 홈쇼핑을 쥐고 흔드는 상황이 지속된다면 소비자의 부담은 더욱 더 커지게 될 것이다.
<정보가전부·강병준기자 bjk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