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인터넷전화(VoIP) 제도를 정비함에 따라 NTT 등 대형사업자들이 잇따라 서비스를 본격화하는 등 발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어 상대적으로 침체된 국내 인터넷전화 산업과 대조를 보이고 있다.
관련 업계와 일본 언론에 따르면 일본은 총무성이 인터넷전화의 착신용 망식별번호 부여와 통화품질규정 등 전기통신사업법시행규칙(안)을 발표한 이래 청문회를 거쳐 10월부터 본격 시행할 예정이다.
또한 NTT그룹내 통신자회사들과 야후BB·KDDI 등이 앞다퉈 서비스에 나서는 한편 지방의 소규모 사업자들도 대거 사업에 나서 시장이 본격적으로 열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 언론은 올해말 인터넷전화 가입자수가 지난해 160만명에서 50% 늘어난 240만명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고 지난해 시장규모는 24억엔에 이르렀다는 시장분석자료도 발표됐다.
이에 따라 단말기와 장비산업이 활성화되고 있어 국내 솔루션업체도 상대적으로 침체된 국내 시장 대신 일본 시장 진출을 적극적으로 타진하는 형국이다.
반면 국내의 경우 인터넷전화 제도 정비를 위한 전담반 활동이 정통부·업계·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지만 제도마련과 관련된 가시적인 성과는 아직 없는 상황이다.
관련 시장도 개인용 인터넷전화 서비스의 경우 99년 이래 이어온 급격한 성장세가 주춤하고 있는 가운데 기업용 인터넷전화 서비스가 시장을 지탱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기업들의 인터넷전화에 대한 인식전환으로 기업용 시장이 본격화하는 반면 개인용 시장은 상대적으로 침체돼 있어 단말기와 소형 게이트웨이 장비업체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관계자들은 또 “일본의 경우 시내전화의 지배적 사업자인 NTT가 사업부문별로 나뉘어져 경쟁이 활성화됨에 따라 신기술 도입이 빠른 반면 국내는 시내전화 부문의 유효경쟁체제가 이뤄지지 않아 신기술 도입이 상대적으로 느린 것”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KISDI 장범진 연구원은 “일본의 경우 초고속인터넷이 국내와 같이 확산되지 않아 시내전화 시장을 대체한다기보다는 사업자의 비용절감 차원에서 인터넷전화 기술을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에 그 의미가 다르다”며 “국내의 초고속인터넷 환경이 다른 나라에서 예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앞서 있기 때문에 시내전화와의 경쟁관계 등을 고려해야 하는 등 고민거리가 더 많다”고 말했다.
한편 정통부는 이르면 다음달 중순께 인터넷전화 제도의 초안을 공개하고 공청회와 세미나를 개최할 계획이어서 하반기 이후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김용석기자 yskim@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