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단상]디지털 캠페인

 ◆정득진 한국전자거래진흥원장djjung@kiec.or.kr

아날로그 시대에 사람의 신분이나 부는 주로 상속과 세습에 의해 결정되었다. ‘부자는 망해도 3년은 간다’고 했던 것은 이를 웅변한 말이다. 그러나 컴퓨터와 인터넷 이용이 일상화된 지금의 정보시대에는 신분과 부는 더이상 상속과 세습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지금까지는 세습에 의한 빈부격차가 존재하는 사회였다고 한다면 앞으로의 디지털 정보사회에서는 지식과 정보에 대한 불균등한 접근 기회로 인한 새로운 빈부격차가 이슈가 되는 시대가 오리라고 본다. 인터넷은 전자상거래 등 디지털 경제의 대동맥이다. 지식과 정보의 실시간 유통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디지털 산업사회를 이끄는 동력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회가 아무리 발전하더라도 인터넷에 쉽게 접근할 수 없는 소외계층은 있기 마련이다. 정보화 마인드에 뒤처지거나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은 농어촌지역에 산다는 이유로 인터넷 접근이 어렵다면 이들에게는 궁극적으로 지식과 정보를 밑천으로 한 소득창출의 기회가 막혀버리게 된다. 앞으로는 국가의 정책목표도 단순한 빈부격차 문제가 아니라 이러한 디지털 격차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그 초점이 맞춰져야 될 것이다.

 지금 세계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자상거래 시대로 진입하는 산업대혁명이 진행되고 있다. 과거 일본이 아날로그 방식의 고해상도TV(HDTV) 개발에 수조엔이 넘는 투자를 하면서 첨단기술 선도국을 자처했음에도 불구하고 디지털이라는 세계기술 조류를 간파하지 못해 디지털 기술혁명에서 주도권을 상실하게 된 경험은 우리에게 좋은 시사점이 되고 있다.

 지금 우리는 범국가적으로 전자상거래 발전 비전과 역량을 결집함으로써 이를 국운 상승과 도약의 계기로 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과거에는 새마을운동이 경제개발과 의식개혁의 수단으로 추진되었지만 이제는 컴맹과 디지털 격차로 인한 새로운 빈부격차 해소를 위해 소위 디지털 새마을운동과 같은 새로운 구국 캠페인이 필요하지 않을까 한다. 과거와 같은 관 주도가 아니라 민간기구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의 자발적 필요와 창의에 의해 이뤄지는 것이라면 더욱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