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생명공학이다.
미국의 각 주정부가 고임금 하이테크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유망 하이테크 산업인 생명산업 육성에 발벗고 나섰다.
AP에 따르면 미국의 각 주정부는 생명공학 및 제약회사 유치를 위해 직업교육 보조금, 세금 환급, 신생기업을 위한 새 연구실험실과 사무실 등 다양한 유인책을 줄줄이 내놓기 시작했다.
이와 관련, 비영리 단체인 바텔기념협회의 기술파트너 프로그램을 총괄하고 있는 월트 플로실라는 “(하이테크 산업 유치 움직임이) 더 이상 동서해안에 국한된 현상이 아니다”며 “유타, 아이오와, 미주리, 위스콘신 등도 파이의 한 조각을 차지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 단체인 생명기술산업협회(BIA)의 정부관계업무 담당 이사인 패트릭 켈리도 “생명산업을 하이테크 클러스터 비전의 핵심으로 내세우고 있는 약 40개주가 대학연구소나 생명과학기업보다 더 산업 육성에 열성적”이라고 말했다.
업계 일각에서는 이같은 과열 경쟁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제약·생명과학기업, 대학연구소, 개인투자가, 연방보조 프로그램 등으로부터 시너지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주정부만이 생명산업 육성에 성공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현재 각 주정부 중 가장 앞선 곳은 제약산업의 메카인 뉴저지주. 뉴저지주는 주지사인 제임스 E 맥그리비가 직접 나서 생명산업을 통한 고용 창출을 최우선 정책과제로 삼고 있는데다 단위인구당 과학자 수가 다른 주보다 많아 고급인력 확보가 손쉽다는 것이 장점이다. 실제 이 주는 벨연구소, 기술보육업체인 산오프, 프린스턴대와 루트거스대 등 연구대학의 고향이기도 하다.
뉴저지주에는 3500명의 직원을 거느린 파이저를 비롯해 이미 현재 톱 제약회사의 4분의 3 가량이 몰려 있으며 수십개의 의료장비 업체와 약 120개의 생명과학기업이 자리잡고 있다. 이로 인해 뉴저지주는 10만명의 고용효과를 누리고 있으며 전반적인 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는 연간 250억달러 규모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세계 최대 제약회사 파이저의 CEO인 헨리 매킨넬은 “강력한 생명과학 산업과 사업 풍토, 산업 진흥 프로그램을 이미 갖추고 있는 주만이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비해 제약과 생명기술 기반이 거의 없는 하와이와 같은 주정부는 힘겨운 경쟁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이 같은 주정부는 야심찬 계획을 세웠으나 예산상의 문제로 일부 계획을 축소하거나 연기하기 다반사다.
미국의 많은 주정부가 생명산업을 미래 산업으로 육성하고 있으나 정작 성공할 주정부는 몇 안될 것으로 보인다.
<황도연기자 dyhw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