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반업계, 저작권 침해 행위 공세 강화

 4년 연속 매출감소를 겪고 있는 음반업계가 저작권 침해 행위에 대한 공세의 강도를 한층 강화하기 시작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가 19일 보도했다.

 음반업계는 지난해 음반의 불법복제와 인터넷의 음악파일 교환으로 50억달러 이상의 피해를 봤다고 주장했다.

 유니버설과 소니·EMI·워너뮤직·BMG 등이 소속된 음반업계 단체와 개별 업체들은 저작권 침해 행위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는 동시에 온라인 음악서비스의 개발 및 인터넷 음악사이트들과의 제휴를 통해 저작권 침해 문제에 대처하기로 결의했다.

 지난 한해 동안 세계적으로 음반 매출은 10%가 감소했으며 소매시장 규모도 10년 만에 가장 저조한 300억달러 정도에 그쳤다. 미국음반산업협회 (RIAA)는 지난해 미국시장에서 줄어든 음반 매출의 약 3분의 2는 저작권 침해 때문이라고 지적하고 음반매출 부진으로 주요 음반사의 이윤이 크게 줄었다고 설명했다.

 힐러리 로젠 RIAA 회장은 프랑스 칸에서 열린 음악산업 전시회 미뎀에서 “매출증대와 저작권 침해 저지를 위한 조치를 서둘러 취하지 않을 경우 음반산업의 미래는 참담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RIAA는 지난주 델컴퓨터·마이크로소프트(MS)·휴렛패커드 등 주요 컴퓨터 관련 업체와 음악저작권 보호를 위한 기술개발에 공동으로 나서기로 하는 한편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국제음반산업연맹(IFPI)의 제이슨 버먼 회장은 IFPI가 지난해 55개의 불법 음반공장을 폐쇄하고 3400만장의 불법CD를 압수하는 데 많은 기여를 했다고 밝혔다. 그는 IFPI는 합법적인 온라인 음악서비스업체를 지원하며 유럽 국가들이 저작권 보호법안을 발효시키도록 설득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세희기자 hah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