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분야의 해외 선진 기술 도입방식에 문제가 많다. 중소벤처업체가 주를 이루고 있는 국산 네트워크업계는 업체별로 해외 선진기술 라이선스 및 관련 소프트웨어 도입을 추진하다보니 비용부담 증가 등으로 최신기술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개별업체방식에서 탈피, 대표기관을 통한 공동도입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기술도입 부담 과중=그동안 국산 네트워크장비업계는 매년 적게는 수억원에서 많게는 수십억원의 비용을 선진 기술 도입에 투입해왔다.
대부분의 핵심기술 개발이 북미 및 유럽을 중심으로 진행돼왔고 간혹 자체 연구개발을 통한 기술확보가 가능하더라도 연구인력이 많아야 수십여명 수준인 국내 업체들로서는 해외 업체의 개발 속도를 따라잡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하지만 연간 매출이 200억∼300억원대에 머물고 있는 중소벤처업체 입장에서는 이같은 기술도입 비용은 상당한 부담이 돼왔다.
특히 기술도입 단가가 회사 규모와는 상관없이 일괄적이어서 매출 규모가 적은 기업에는 더욱 큰 부담으로 작용해왔다. 즉, 연간 매출이 조 단위로 움직이는 삼성전자·LG전자 같은 대기업이나 연간 매출이 100억원에도 못미치는 벤처업체들도 똑같은 비용을 치르고 기술을 도입하다보니 이로 인한 어려움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일례로 최근 메트로이더넷스위치 개발을 위해 국내 업계가 관심을 갖고 있는 IP인퓨전사의 ‘젭(ZEB) OS’의 경우 라이선스 비용만 50만달러에 이르고 있다. 이에 대한 투자 비용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100억원대 이상의 관련 매출을 올려야 하지만 현재 국내 시장 규모에서는 쉽지 않은 일이어서 상당수의 업체들이 도입을 주저하고 있는 상황이다.
◇기술도입 지연도 심각=기술도입 비용이 증가하는 것보다 더 심각한 문제는 이같은 비용 부담 때문에 선진기술 도입을 미루는 것이다.
네트워크장비업체 A사는 지난 2년간 단 한차례도 해외 기술을 도입하지 않았다. 최근 극도로 시장이 위축된 상황에서 투자회수 가능성을 낮게 본 경영진의 우려 때문이었다. 이에 따라 이 회사는 자체 인력을 통해 개발작업을 진행해왔지만 개발 속도가 늦다보니 시장 진입이 늦어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또 다른 네트워크장비업체인 B사는 비용 부담을 이유로 인터넷을 통해 무료로 얻을 수 있는 리눅스 기반의 공개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장비 개발에 나섰다. 하지만 이 회사 역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아직 검증되지 않은 솔루션이다보니 실제 응용과정에서 많은 오류가 발생했고 이런 문제점을 해결해줄 만한 지원서비스도 없어 개발작업이 계속 지연됐다.
한아시스템 노흥영 연구소장은 “거금을 들여 선진기술을 취득하자니 투자회수에 대한 우려가 높고, 자체 개발하자니 해외 선진업체의 개발속도를 따라잡기 힘드는 등 어느쪽으로도 선택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공동도입 기반 마련 시급=이처럼 해외 기술도입에 따른 비용 부담이 증가하자 대표성을 가진 기관을 통해 관련 기술을 공동 도입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같은 국책 연구기관을 통해 기술을 도입하고 이를 ‘서브-라이선스싱’ 형식으로 국내 업체들에 제공한다면 업체들이 적은 비용으로 최신 기술을 취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공동도입에 참여한 업체들간에 기술 정보 공유체제를 마련, 신기술을 이용한 개발 과정에서 나타나는 기술상 문제점에 관한 정보를 교환한다면 자연스레 국내 업체들의 개발능력도 향상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차세대LAN기획전문위원회의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우경일 콤텍시스템 상무는 “내수 기반이 취약하고 연구개발인력이 부족한 국내 업체들로서는 신제품 개발때마다 막대한 비용을 들여 해외 기술을 도입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ETRI 같은 기관을 통한 공동 도입기반을 마련할 필요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이호준기자 newlevel@etnews.co.kr>
대표기관 통해 최신기술공유 필요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해외 기술 공동 도입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