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양방향TV(ITV)산업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제 막 시장이 발아되는 초기단계라고는 하나 인터넷 산업의 성공요인인 양방향성과 개인매체의 속성을 모두 수용하고 있는 디지털 ITV가 몰고 올 파급효과가 엄청나기 때문이다. 유사 서비스중 가장 강력한 수익모델을 지니고 있으니 두말할 나위가 없다.
세계 각국이 디지털 ITV산업 육성에 골몰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초기 단계인 지금이야말로 향후 세계 경제에 엄청난 영향을 미치게 될 디지털 ITV산업의 주도권을 잡을 수 있는 호기라는 판단에서다.
그런 측면에서 정부가 마련한 ‘디지털 ITV 추진 기본계획(안)’에 거는 기대가 크다. 지상파와 케이블TV 공통 데이터방송 표준 및 인터페이스 조기 제정, 규제 최소화, 수익모델 개발을 골자로 하는 이번 계획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대목은 ACAP(Adva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로 데이터방송 잠정 표준을 통합하겠다는 것이다. 그동안 지상파 데이터방송은 DASE(DTV Application Software Environment)를, 케이블TV 데이터방송은 OCAP(OpenCable Application Platform)를 표준으로 삼는 등 잠정 데이터방송 규격이 달라 매체간 콘텐츠 공유는 물론 데이터방송 산업 활성화에 악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감안하면 환영할만한 일이다.
뿐만 아니라 제조사와 방송 매체들이 독자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글꼴과 문자 입력방식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일해 기술적인 결함 및 중복투자를 방지하고, 데이터방송을 매개로 한 T정부 실현으로 정보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지자체, 방송사, 연구소 등이 참여하는 T정부 시범서비스와 홍보관을 운영하겠다는 것도 가닥을 제대로 잡은 정책이라고 본다.
정부 구상대로 디지털 ITV산업 육성정책이 차질없이 추진될 경우 기술 표준규격과 법·제도적 문제 그리고 시장환경 미비 등으로 인해 주춤거렸던 디지털 ITV 산업이 탄력을 받아 차세대 성장엔진으로 부상할 수 있다.
하지만 갈 길은 아직 멀다. 법·제도적인 규제 완화와 전문인력 양성은 물론 혼란을 최소화하면서 매체 및 사업자들이 독자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글꼴과 문자 입력방식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본 규격 마련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초기 투자재원 확보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도 마찬가지다. 데이터방송으로 발생한 주파수 사용료 및 방송발전기금 등을 데이터방송 관련 기술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우선 투자하는 방안을 고려중이라고 하나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규제완화 문제도 그렇다. 디지털 ITV 서비스의 특수성을 감안해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는 데이터방송사업자들의 요구를 방송위가 들어줄지 의문이다.
디지털 ITV 산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방송·통신 경계 영역적 서비스의 법적 근거와 함께 규제완화, 디지털 양방향 콘텐츠 활성화, t커머스 육성정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본다. 또 디지털 ITV 수상기 보급촉진 정책, ITV 기능을 이용한 전자정부 서비스의 조기구현, 매체간 데이터방송 콘텐츠 호환성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 등 디지털 ITV 인프라 정책 마련도 시급한 일이다.
디지털ITV를 한국경제호의 미래를 걸머질 차세대 성장엔진으로 육성해 나가려는 우리 정부의 구상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