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청난 사회적 파장을 불러왔던 LG카드 사태가 진정되고 있다. 은행 채권단이 2조원에 가까운 자금을 수혈하면서 ‘회생’쪽으로 가닥을 잡았기 때문이다. 정부에서도 카드업계 1위였던 LG카드가 부도날 경우 금융기관의 연쇄부실 등 ‘후폭풍’을 고려해 적극 개입했다는 후문이다. 이때문인지 벼랑 끝까지 몰렸던 LG카드는 최악의 시나리오는 피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정작 ‘불똥’은 다른곳으로 튀고 있다. 카드 매출에 70%를 의존해온 TV 홈쇼핑과 인터넷 쇼핑몰이 카드 사태의 대표적 ‘희생양’으로 떠오른 것이다. LG카드를 비롯한 카드업계가 신용한도를 축소할 움직임을 보이면서 고객들이 카드사용을 자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우량고객까지 카드사용을 꺼려 연말 매출달성에 비상이 걸렸다. 그나마 이들 온라인채널은 백화점·할인점 등 ‘마이너스’신장에 무감해진 오프라인채널에 비해 변함없는 기본 성장세를 유지해 왔다. 전체 소비시장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은 작지만 성장속도만큼은 보수적인 조사기관에서도 인정할 정도로 괄목하게 성장했다.
온라인채널의 불투명한 시장전망은 뒤집어 이야기하면 아직도 소비자가 주머니를 풀 여건이 되지 않았다는 방증이다. 미국이나 유럽 등 세계 경제가 점차 호황 조짐을 보이면서 수출은 살아나고 있지만 내수가 제자리를 찾기까지는 여전히 시간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잘못된 경영관행을 바로잡는 것도 중요하지만 우선은 기업이 살아야 한다. 규제와 육성은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는 식의 해답 없는 논쟁이지만 지금은 기업을 살리는데 주력해야 한다. LG카드와 같은 사태가 재발되지 않도록 정부와 기업이 모두 힘을 모아야 한다. 경기의 바로미터인 서비스 업종이 살아날 때 비로소 경제도 자리를 잡을 수 있다.
특히 금융은 소비 심리를 좌지우지 할 수 있는 ‘아킬레스 건’이다. 정책이 흔들리면 기업이 흔들리지만, 금융이 흔들리면 전체 경기가 흔들릴 수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디지털경제부=강병준기자 bjk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