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에서 인터넷 쇼핑 등 온라인을 통해 거래한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가 238조원에 달했다고 한다. 이는 전년대비 34% 늘어난 것일 뿐 아니라 지난 한해동안 이뤄진 전체 상거래액 1462조원의 17%에 해당하는 수치다. 이젠 전자상거래가 인터넷 이용자 증가와 함께 보편적 거래방편으로 자리잡아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작년 전자상거래 증가율이 전년 신장률 49%에 비해서는 둔화되기는 했다. 여러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으나 우리는 전자상거래 규모가 그만 큼 커진데다 일부 세원 노출을 우려한 중소기업들의 기피 때문이라고 본다. 그러나 지난해 내수경기가 유례없이 침체됐던 상황을 감안하면 34%의 성장률은 폭발적 증가세로 봐도 무방하다. 매우 고무적인 현상임에 틀림없다. 이런 추세라면 오는 2007년까지 전자상거래율을 30%까지 끌어올려 기업경영의 효율을 높이고 경제의 투명성을 제고하겠다는 산자부의 야심 찬 목표가 실현될 것으로 기대된다.
사실 기업간(B2B)거래를 포함해 기업과 정부(B2G), 기업과 일반소비자간(B2C) 전자상거래의 활성화는 우리 기업들의 대외경쟁력 강화 뿐 아니라 IT산업을 지속적으로 성장시키는 핵심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전자상거래가 규모 면에서는 신장세를 거듭하고 있지만 인식 부족과 장기 불황의 여파로 기업들의 e비즈니스에 대한 투자는 시스템 유지보수에만 치중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e비즈니스 인프라가 이미 선진국 수준에 도달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이 e비즈니스 투자를 주저하는 데는 시스템 구축에 따른 비용부담이나 투자 대비 효과에 대한 확신 부족 등 내부적인 문제도 있겠지만 시장 여건의 미성숙과 표준화 미비 등 외적 요인도 많다. 가령 B2B는 전용선을 이용하는 EDI와 인터넷을 이용하는데 현재의 기술로는 시스템이 다른 회사끼리는 호환성을 확보할 수 없어 거래를 하고 싶어도 불가능하다는 것 등이 일례다. 회사별로 서로 다른 전자문서나 비즈니스 절차 등이 표준화돼야 하겠지만 문제는 전자상거래가 향후 기업의 사활을 좌우한다는 사실을 기업들이 제대로 인식해야 한다는 것이다. 인텔의 앤디 그로브 회장은 향후 5년 후엔 인터넷으로 업무를 추진하지 않는 기업은 모두 도태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산자부가 발표한 2003년 e비즈니스현황 조사결과에 따르면 온라인을 통해 판매, 구매와 관련된 상거래를 하는 전자적 거래 시행업체는 24.4%로 나타나 우리 기업들의 전자상거래에 대한 마인드 제고가 절실함을 느끼게 해준다. 정부는 전자상거래의 활성화를 위해 e비즈니스 핵심기술 개발과 표준화 활동 지원 등 다각적인 대책을 구상 중이라고 한다. 이를 위해 전자상거래 로드맵상 핵심전략부문에 대한 지원을 대폭 강화하고 e비즈니스 촉진책으로 공공부문 우선 구매 등을 적극 유도할 방침이라고 한다. 하지만 정부가 중소기업의 전자상거래에 대한 부가세 감면 등 인센티브를 확대하는 정책을 편다고 하더라도 기업들의 마인드가 부족할 경우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기 어려울 것이다.
국가·기업 중심의 틀에서 벗어나 글로벌체제로 옮겨지는 미래에는 수출입을 포함한 모든 거래가 e비즈니스, e경제환경에 의해 이루어진다. 새로운 거래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기업 스스로가 ‘e비즈니스 마인드’를 갖고 체질 바꾸기에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