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업계에 이름뿐이고 실제 하는 일이 거의 없는 게임관련 단체나 협회가 너무 많아 게임업계의 구심력이 약해진다면 바람직한 현상이 아니다.
물론 등록한 게임관련 단체나 협회 나름대로 설립취지나 목적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대다수 단체와 협회가 설립 취지나 목적과는 다르게 유명무실하다면 이를 통합하는 것이 게임산업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게임관련 단체나 협회가 난립해 게임산업 발전에 장애가 되는데도 이를 그대로 방치한다면 무책임한 일이다. 이는 그 누구도 바라는 일이 아니다.
게임산업은 문화콘텐츠의 핵심이자 21세기 지식산업으로 우리 국가경제 성장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지난해 국내 게임시장은 3조4000억원으로 2001년에 비해 12%가량 성장했다. 해가 지날수록 고성장이 기대되는 산업이다.
이때문에 세계 각국은 게임산업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인식해 네트워크 기술개발과 콘텐츠의 다양화 등에 투자를 집중하고 있다. 우리도 2007년까지 세계 3대 게임강국으로 부상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게임산업 인프라 구축과 전문인력 양성, 해외 마케팅 강화 등 다양한 비전을 제시해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현재 등록한 게임관련 협회나 단체 등만 20여개나 된다고 한다. 이 가운데는 단순 친목모임에 불과한데도 사단법인으로 동록했거나 실체는 없고 이름뿐인 단체도 존재한다니 허상의 정도를 가늠할 수 있다.
이들은 한결같이 ‘업계 권익 대변’이나 ‘게임산업 발전’ 등을 내세우고 있지만 이런 취지에 충실하기보다는 오히려 특정 개인이나 업체의 입장을 대변해 지탄의 대상이 되는 사례도 있다니 바로잡아야 할 일이다.
게임관련 단체나 협회 난립의 일차 책임은 게임업계 관련자들에게 있다. 게임산업의 환경변화에 따른 새로운 비전과 목표아래 업계의 권익을 대변할 생각은 않고 개인의 이익을 우선한 일부 인사의 자세도 지탄받을 일이다. 여기에 무분별하게 게임단체나 협회 인가를 내 준 당국도 책임이 있다. 부처이기주의에 편승해 산하 단체나 협회를 늘리려는 암묵적인 의도가 없다고 단언할 수 없기 때문이다.
분명한 사실은 지금처럼 유명무실한 단체나 협회 난립 현상이 하루빨리 해소되지 못하면 게임산업 발전에 심대한 지장을 준다는 점이다. 게임업계를 통합하고 대변할 단체나 협회가 등장하지 않는다면 다양한 콘텐츠 개발과 게임문화 정착, 해외시장 마케팅 등 현안에 대한 정책 대안을 정부에 효율적으로 제시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게임업계는 조속히 관련단체나 협회 대표자 회의 등을 통해 이런 현안을 해결해야 한다. 단체나 협회 통합의 구체적인 방안은 업계가 자율적으로 마련하는 게 가장 효과적이다. 기우겠으나 이 과정에 부처간 줄세우기나 부처의 입김이 작용해서는 안된다. 우리가 세계 3대 게임강국에 안착하려면 게임개발을 위한 최적의 환경과 문화를 조성해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통합된 구심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거나 기술력을 바탕으로 해외시장을 제대로 개척하지 못하면 게임산업은 국가 경제성장의 동력이 될 수 없다. 정부가 아무리 시의적절한 정책을 내놔도 이를 구현하는 것은 게임업체다. 게업업계가 재도약의 기반을 마련하려면 분산된 내부 역량을 한곳에 결집시켜 게임산업 발전에 적극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