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서비스 사업의 해외진출은 경쟁우위 요소가 퇴색되기 이전에 시급히 추진돼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또 조급한 해외진출로 충분한 대가를 얻지 못하는 사태를 막기 위해 정부의 효과적인 지원이 요구됐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원장 이주헌) 김용철 연구위원팀은 29일 ‘통신서비스 해외시장 진출 사례분석 및 시사점’이란 제목의 이슈 리포트에서 “정보통신 원천기술의 수명주기가 점점 짧아지고 있는 반면 기술표준 선정, 막대한 교체비용 발생으로 시장선점 효과가 장기간에 걸쳐 발생하기 때문”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해외진출시 고려해야할 사항으로 목표시장 선정시 현지의 환경, 전략적 중요성 등을 고려한 상당한 수준의 전략적 몰입이 요구됐다.
보고서는 “싱텔의 해외진출 사례에서 보듯 성장잠재력이 높은 시장이나 안정성이 높은 시장에 우선적으로 진출해야 한다”며 “통신서비스 보급률이 낮되 잠재력과 환경이 양호한 국가는 단기적 유망시장으로, 환경이 열악한 국가는 장기적 접근이 요구되며 이 과정에서 정부간 협력을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전략적 시장에 진출해 경험을 다진 뒤 유사한 주변시장을 노리는 단계적 전략이 바람직하다고 분석했다.
또 지역 집중에 따른 시너지 확보 차원에서 특정지역을 공략해야 하며 경쟁우위와 장기적 수익원 확보를 고려한 상품 서비스 설정을 마련해야 한다고 분석하고 단순한 노하우 전수 비즈니스모델은 리스크를 줄일 수는 있으나 일회적 사업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며 조인트벤처 등의 전략을 시급히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해외진출을 돕기 위해 정부는 IT장관회담, 정책자문단 파견, 세계 IT협력 공동체 구축 등의 정부간 교류를 강화하고 정부차원의 공동펀드 조성,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공동진출방안 모색 등의 정책을 마련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김용철 연구위원은 “우리나라가 단기간 성장으로 경쟁역량을 확보했음에도 이를 활용한 해외진출은 충분한 성과를 보여주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며 “경쟁우위는 점차 희석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정부와 사업자는 핵심 역량을 토대로 한 해외진출 방안을 시급히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용석기자 yskim@etnews.co.kr>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해외진출 대상 국가/시장선점의 주요 영향 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