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 밸리는 전자산업뿐만 아니라 생명공학 분야에서도 25년 이상의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이 지역의 생명공학회사는 상장 및 비상장을 포함해 최소 340개사에 이르며 대체로 직원수가 100명 미만으로 소규모 업체들이다. 하지만 최근 바이오벤처들의 데뷔 제품이 미식품의약국(FDA) 승인단계에 가까이 다가감으로써 이들 업체의 조직규모는 갈수록 커질 전망이다.
이들이 제품을 소비자에게 판매하려면 생산시설을 대폭 늘려야 하기 때문에 이 산업에서 엄청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다면 생명공학산업 일자리를 실리콘 밸리에 유치하기 위한 주 정부의 대책은 무엇일까?
생명공학업체들이 대거 소재한 이 지역 출신 엘렌 M. 코벳 민주당 의원은 "생명공학산업이 캘리포니아 주경제의 차세대 성장엔진"이라고 꼽았다. 주 의회 생명공학 특별위원회 의장인 그녀는 지난주 `생명공학산업 성장촉진을 통한 캘리포니아 주 경제 활성화`라는 제목의 청문회를 주재했다.
문제는 캘리포니아주의 과도한 예산적자다. 코벳 의원은 바이오벤처들이 자사 제품에 대한 FDA 승인을 받을 때까지 이들 업체의 재산세를 면제하는 법안을 올해 제안했었다.
세제 지원으로 캘리포니아에 생명공학 제조시설이 들어서면 고용과 근로 소득이 늘어 소득세 세수가 증가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의약품 판매가 본격화되면 결국 제조시설에 대한 재산세 면제를 해제해 재산세 수입을 늘릴 수 있게 된다. 또 제조시설 유치 외에 생명공학 공장에서 일할 능력이 있는 과학자나 기술자를 주내 대학들이 충분히 배출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문제도 시설유치만큼 자금 지원을 필요로 하지만 요즘 캘리포니아 주 정부는 생명공학자 양성을 지원할 경제적 여력이 빠듯한 형편이다. 이에 따라 영어를 할 줄 아는 외국기술자들에게 업무를 위탁하는 일이 실리콘 밸리에서 유행하고 있다. 생명공학부문에서는 아직 이러한 외주 활동이 비교적 적은 편이지만 앞으로 업무 해외 위탁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제이 안 기자 jayahn@ibiztoda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