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산업 뉴트렌드-환경](3)전자업계 환경에 눈뜬다

사진; 국내 전자업계가 선진국의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본격적인 친환경 제품 생산에 나섰다.

 세계 무역환경은 환경규제를 비관세 장벽으로 활용하는 선진국들의 추세에 따라 ‘환경기술이 곧 경쟁력’이 되는 시대를 맞게 됐다.

 지난 2001년에 있었던 ‘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 1 사건’은 우리나라 전기·전자업계가 타산지석으로 삼는 계기가 됐다. 비용보다도 그 크나큰 사건을 지혜롭게 대처한 점에서 국내업체들의 귀감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사실 삼성전자·LG전자·대우일렉트로닉스 등 대기업들은 예전부터 EU 등 선진국의 환경규제 움직임을 파악하고 있긴 했지만 본격적인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한 건 소니 사건 이후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최근 산업자원부와 한국전자산업진흥회(회장 윤종용 http://www.eiak.org)가 국내 주요 전자업체 대표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가진 전자업계 최초의 ‘친환경 제품 생산 선언’도 이와 맥락을 같이한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초 전사적인 환경안전경영위원회 설립해 운영중이다. 사업장 중심으로 이뤄져 왔던 환경안전위원회를 대표이사 주관의 전사 환경안전경영위원회로 격상시켰다.

 특히 친환경제품 생산을 위해 환경부하가 적고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자재를 구매하기 위한 녹색구매제도를 시행했다. 지난해에는 국내 전 협력업체를 대상으로 녹색구매 정책에 대한 설명회를 개최한 데 이어 올해에는 전사적인 시범적용 기간을 거친 후 내년부터는 전면실시하기로 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국가청정생산지원센터의 강홍윤 수석연구원은 “EU의 환경규제 관련 지침들이 본격 시행되면 샘플링에 의한 무작위 추출조사 방식도 검출시스템 도입에 의한 상시체제로 전환될 가능성이 커져 철저한 대비가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환경기술위원회’라는 전사적인 대응기구를 둔 LG전자도 지난해 말 ‘친환경 경영전략’을 확정하고 친환경 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다. 우선 연말까지 제품에 유해물질 사용을 금지하거나 규제 이하 수치로 유지하기로 했다. 전 제품에 무연 납땜을 적용하며 EU가 요구하는 폐제품 회수·처리 시스템도 구축한다. 협력업체의 친환경 활동을 장려하기 위한 녹색구매제도를 도입해 규정에 부합하는 부품만을 구입해 구매시점부터 유해 부품을 차단하는 체계를 갖추었다. 여기에 협력업체 지원 프로그램도 마련됐다.

 대우일렉트로닉스도 올해부터는 설계 단계에서부터 환경 디자인 개발 과정을 적용하고 협력사로부터 부품을 납품받는 단계에서 유해물질을 검사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역시 대 유럽 수출 제품에 무연솔더링 기술적용을 검토하는 등 적극적인 대비태세를 갖추어 나가고 있다.

 대우일렉트로닉스의 한 관계자는 “오는 2006년부터 중금속 사용 때 환경 부담금이 부과된다”며 “유럽지역에서의 브랜드 인지도 향상을 위해 우선 대 유럽 수출 제품부터 무공해 제품을 출시해 환경을 먼저 생각하는 기업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문정기자 mjjo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