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업계의 숙원이었던 통합협회가 최근 발기인대회를 가진데 이어 내달 28일 ‘한국게임산업협회(가칭)’라는 이름으로 공식 출범한다. 게임산업이 차세대 성장동력으로까지 부각된 시점에 그동안 20여개로 갈려져 있던 관련 협회가 민간 주도의 단일조직으로 구성된다는 것 자체가 더없이 의미가 큰 일이다.
발기인으로 참여한 기업대표들의 면면도 어디 한 곳 뒤질 데 없이 그동안 게임산업의 발전과 기술 중흥에 혼을 쏟아온 주역들임에 의심의 여지가 없다. 이런 가능성과 기대감을 한몸에 안고 나섰기에 협회에 가져야할 책무 또한 너무나 막중하다.
우선 협회는 출범과 함께 ‘건전한 게임 문화 조성’이라는 대의명분을 이루는 일에 매진해야 할 것이다. 게임이 그동안 가져왔던 부정적인 인식을 뒤집고 국가 콘텐츠산업의 한복판으로 나설 수 있는 가장 긴요한 방법이 바로 이것이기 때문이다. 산업규모는 하루가 다르게 커지면서도 인식 수준은 타락적 소비문화의 밑바닥에 내동댕이쳐져 있을 수 없다. 게임 문화를 건전하게 바꾸고 게임의 유용성을 사회적 양지로 끌어내오는 일이 협회의 첫 번째 과업이다.
게임업계 스스로가 요구해왔듯 산업화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조화와 역기능을 방지할 수 있는 업계의 ‘한목소리’를 만드는데 협회는 역량을 집중해야한다. 이제까지의 사례에서처럼 뿔뿔이 흩어진 협회들이 제각각의 형편에 맞는 목소리로 “산업부흥”, “정부지원”을 외쳐봐야 그 뜻이 제대로 전달될 리 만무하다. 업계 내부 요구를 수렴하고 협회는 정제된 목소리를 내야한다. 그래야만 게임업계-정부-이용자라는 관련 3주체가 모두 게임산업의 발전이라는 하나의 방향에서 진정한 파트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게임산업의 획기적 성장을 위해 요구되는 해외진출에 있어서도 공조체제를 공고히 해야할 것이다. 기업 개별적으로 해외시장에 뛰어들어선 그다지 큰 성과를 기대할 수 없다. 되도록 협회를 통해 역량을 결집하고, 경쟁국가의 전략에 공동대응하는 것이 성과를 높이는 지름길이다.
오랜 정성을 기울여온 만큼 협회 출범에 쏟아지는 국내외의 관심이 크다. ‘대마불사(大馬不死)’의 패기를 갖고 용맹정진하는 협회를 기대해 본다.
<디지털문화부·이진호기자 jhole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