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부가 24일자로 단행하는 일부 조직 개편과 대대적인 보직인사는 참여정부 IT행정의 변화를 예고했다. 무엇보다 돌발변수가 없는 한 노무현 대통령과 임기를 같이할 가능성이 큰 진대제 장관의 ‘주식회사 정통부’ 구상이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점쳐졌다.
차관 직속의 전략기획관과 동향분석담당관 신설은 사전 조사를 통해 중장기 IT정책 수요를 발굴함으로써 민간 현실과 정책의 괴리를 최대한 좁혀보겠다는 뜻이다.국제협력국 신설과 지역협력과 신설은 기업 수출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쪽으로 정책 개발을 집중화하겠다는 의지를 반영했다.
전파방송관리국을 전파방송정책국으로 바꾼 것도 자질구레한 규제 업무를 산하 기관에 대폭 넘기고 통신방송융합 관련 핵심 정책을 발굴하는 데 주력해 정통부의 역할을 확대하겠다는 의지가 뚜렷하다. 정보통신정책국 안의 기능 조정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게임, 콘텐츠, 부품, 소프트웨어, 선도개발, 중장기개발 등의 정책 과제를 과별로 재배치, 지금까지와 다른 형태의 정책을 펼칠 것으로 예상됐다.
본부 과장 14명 이동, 과장 이하 주사까지 전체의 60∼70%가 자리를 옮기는 사상 최대의 보직인사는 분위기 일신을 넘어 타성을 철저히 버리라는 장관의 요구를 반영했다. 보직 5년 이하라 해도 해당 국과장이 꼭 필요하다는 경우를 제외하곤 대부분 바꿨다.<인사내용 29면>
전문성과 넓은 시야도 중시됐다. 이를테면 R&D예산 담당 직원이 정보화 예산담당으로 가는 형태로 전문성을 살렸다. 기술고시 출신을 중용했다. 해외 연수를 거쳐 글로벌 흐름을 잘 이해하는 인물도 가급적 주요 보직에 배치했다.
민간기업형 인사 형태가 두드러졌다.개인별로 5순위까지 희망 보직을 조사해 조율, 배치하는 과정을 거쳐 적극성을 유도했다.
정통부는 직원의 경력관리를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직원의 전공과 경력을 데이터베이스(DB)화해 인사에 반영키로 했다. 이를테면 우정사업본부의 금융사업 프로젝트를 팀장에 금융사업본부장이 팀장을 맡고 본부 내 자금조달 담당자나 MBA 출신이 팀원을 맡는 형태다. 정형화한 인력구조를 유연하게 운용하는 시도여서 정부혁신위도 관심을 두고 있다.
본부와 우정사업본부 간 인사 분리 조짐도 있다. 한 관계자는 “지금까지 양측간 인사 교류는 자유로웠으며 직원들도 전혀 개의치 않았으나 서기관, 부이사관 급이라면 앞으론 본부에 남아 정통 관료로 갈 것인 지, 우정사업본부에 가 CEO형 간부를 지향할 것인 지 정해야 하는 상황이 올 것”이라고 말했다.
<신화수기자 hsshi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