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의 단말기 자회사인 SK텔레텍(대표 김일중)과 이동전화시장 3위 사업자인 LG텔레콤의 제휴가 현실화할 경우 단말기와 이동전화서비스 시장 모두 상당한 변화가 일 전망이다.
지금까지 SK텔레콤에 팽팽하게 맞서왔던 2개 후발사업자 진영에 어느 정도 균열이 예상된다.
삼성전자·LG전자·팬택&큐리텔 등이 주도하는 기존 단말기 시장에서도 이동전화 지배적 사업자인 SK텔레콤의 영향력 확대를 둘러싼 논란이 일 전망이다.
그러나 SK텔레텍의 PCS 사업은 상당부분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SK텔레콤이 최근 잇따른 추가 규제조치로 가뜩이나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단말기 업계까지 자극할 필요가 없는 데다, SK텔레텍 또한 생산물량 규제가 풀리는 오는 2006년부터 국내외 셀룰러(CDMA·GSM) 시장에 전력 투구하겠다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SK텔레텍과 LG텔레콤의 만남=SK텔레텍 관계자는 “제조업체로선 LG텔레콤에 대한 제품 공급에 관심있는 것은 사실이며 실무 차원에서 논의했다”라면서도 “본격적인 협상 단계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LG텔레콤 측은 “아직까지 추진된 바 없다”고 부인했다.
실무 차원의 의견 교환 수준이지 협상은 아니라는 설명이다. 실제로도 초기 논의 단계다.
그렇지만 지난달 25일 정책심의위 심결을 전후로 해 SK텔레텍의 모회사인 SK텔레콤과 LG텔레콤 경영진 간에 여러 논의가 있었으며, 단말기 문제도 거론된 것으로 알려졌다. 어느 정도 교감을 이뤄 협력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SK텔레텍의 PCS단말기 제조에 대한 기술적인 난제도 없다. 주파수RF칩만 바꾸고 나머지 특성을 맞추기만 하면 된다. 단말기 기술을 꾸준히 축적한 SK텔레텍으로선 간단한 문제다.
◇배경=SK텔레텍이 LG텔레콤의 단말기 납품협력을 추진중인 데는 무엇보다 이동전화 3사 구도에서 모회사인 SK텔레콤이 더 이상 추가규제를 받지 않도록 ‘탈출구’를 제시하려는 이유가 강하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지난달 25일 정보통신정책심의위가 신세기통신 합병인가조건 이행여부 심사시한을 2년 추가 연장해 SK텔레콤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부담을 안고 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에따라 3위 사업자인 LG텔레콤의 가장 큰 애로점인 단말기 수급여건을 도와줘 규제의 화살을 피해가는 한편, KTF·LG텔레콤 양대 후발사업자 진영에도 일정부분 균열을 유도할 수 있다.
실제로 모회사인 SK텔레콤이나 SK텔레텍 스스로도 주변의 거센 견제를 감수하면서까지 PCS 시장에 공격적으로 진출할 이유는 적다. 이동전화시장 지배적 사업자인 SK텔레콤은 정책심의위의 규제조치이후 오는 7일 통신위의 추가 제재가 남은 데다, 자회사를 통해 향후 단말기 시장의 지배력까지 확대하려 한다는 주위 시각에 적지 않은 부담을 않고 있다. SK텔레텍의 공급물량 제한이 풀리는 내년말까지 1년반의 시간이 남은 지금부터 벌써 국내 단말기 제조사들의 견제가 심해진 것도 부담스럽다. SK텔레텍 역시 제한적인 수요에 머문 PCS 시장보다는 CDMA·GSM 시장에 사활을 걸겠다는 구상이어서 내수시장, 특히 PCS에 주력할 이유가 없다는 시각이다.
◇전망=따라서 이번 양사간 협력은 결국 후발사업자인 ‘LG텔레콤 달래기’ 정도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LG텔레콤도 계열사인 LG전자와 관계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입장이다.
그럼에도 불구, 비록 제한적인 수준이라 해도 양사의 단말기 공급이 가시화할 경우 이동전화 2위 사업자인 KTF로선 불편한 입장에 놓일 수밖에 없다. SK텔레텍의 내수시장 확대진출 이슈가 불거지면서 삼성전자·LG전자·팬택&큐리텔을 비롯한 중소 제조업체들의 거센 공세도 불거질 전망이다. 현재 단말기 업계는 공정위가 지난 99년 12월 SK텔레콤·신세기통신 기업결합을 승인하면서 2005년말까지 내수 120만대로 제한했던 규제 시한을 좀 더 늘리는 방안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정통부 관계자는 “SK텔레텍의 공급물량 제한 건은 지난번 정책심의위가 결정한 합병인가조건 이행여부 심사시한의 연장과는 별개 사안”이라며 “SK텔레텍에 대한 추가 규제는 없을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서한기자 hse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