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러스터’란 무엇인가.
이 단어를 인터넷 검색사이트에서 찾아보면 ‘원자핵을 이루고 있는 몇 개의 양성자와 중성자가 국부적으로 상관관계에 있는 상태, 즉 송이를 이룬 상태’라고 정의되어 있다.
‘산업’이라는 단어에 클러스터를 붙이면 의미가 또 달라진다. 기업과 대학, 연구소 등이 특정 지역에 모여 네트워크를 구축해 사업전개, 기술개발, 부품조달, 인력·정보교류 등에서 시너지효과를 내는 것을 목표로 하는 산업 집적지라는 의미가 된다. 산업클러스터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는 1950년대 이래 급성장한 미국 실리콘밸리가 꼽힌다. 비슷한 업종을 영위하는 관련 기업들이 한 지역에 모여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는 산업클러스터의 시도가 우리나라 산업단지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산업단지는 우리나라 총 수출의 72%, 제조업 고용의 38%를 차지하는 국가 경제의 중추다. 하지만 어느 새 범용·모방기술 중심의 대량생산 중심 모델의 한계를 드러내며 이미 질적 성장의 어려움에 봉착해 있다.
그런 의미에서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화는 그동안 정부의 산업단지 정책을 양적 증대에서 질적 강화로 바꿔놓을 시금석이기도 하다.
사실 전국에는 30개에 이르는 국가산업단지가 있지만 그 중엔 기업들의 수요가 넘쳐 공장용지난에 처해 있는 곳이 있는가 하면 수요가 없어 분양이 완료된 지 10년이 지나도록 빈터로 남아 있는 곳도 있다.
정부가 지난해 7월부터 실시하고 있는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은 이러한 배경에서 나왔다. 지난 40여년 간 추진해 온 하드웨어 중심의 사전적 ‘공장배치’ 정책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의 ‘산업집적(클러스터) 활성화’ 정책으로 방향을 전환한 것이다.
기업인들이 원하는 수도권 등 특정지역에서는 어차피 신규 산업단지를 조성할 수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대통령도 강조했다.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 육성 6개 시범단지는 매우 중요한 만큼 범정부적인 추진체계를 갖추고 혁신클러스터와 공공기관 이전 사업을 연계해 새로운 개념의 ‘혁신도시’를 설계해야 한다”고.
<주문정 경제과학부 차장 mjjo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