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제냐, 보완재냐’ ‘투자 활성화냐, 투자 잠식이냐?’
2.3GHz 휴대인터넷(WiBro) 사업자 선정에 대한 정부의 정책 발표를 앞둔 가운데 휴대인터넷과 여타 유무선 통신서비스 간의 관계 설정이 막바지 논쟁거리로 재부각되고 있다.
이 같은 논쟁은 23일 한국인터넷정보센터(KRNIC)가 주관한 휴대인터넷 사업 추진업체별 전략 발표회에서도 되풀이됐다.
신규 서비스 도입을 통해 투자를 활성화시키겠다는 당면 목표를 갖고 있는 정부로서는 휴대인터넷이 새로운 투자의 물꼬를 터줄 수 있는 전환점이 돼야 한다는 생각. 이 때문에 사업자 선정에도 이 부분이 크게 반영될 것이라는 게 주위의 관측이다.
문제는 사업자 선정을 원하는 관련 업체들이 이 같은 정부의 속내(?)를 겨냥해 상호 논리 공방전을 벌이고 있는 것. SK텔레콤은 이동통신 기술이 발전해 유무선이 통합되는 4G 전단계(Pre-4G)에 휴대인터넷이 위치하기 때문에 음성(WCDMA)과 데이터(휴대인터넷)로 나누어 병행 투자와 서비스가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반면 KT, 하나로통신 등 유선사업자들은 휴대인터넷이 WCDMA의 중저속 데이터 서비스와 겹치는 부분이 발생해 상호 경쟁관계에 놓이게 되고 이 때문에라도 WCDMA 사업권을 갖지 않은 유선 사업자에 사업권을 줘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SK텔레콤, 보완재로 투자 여력 있다=휴대인터넷 사업자 선정을 기대하는 유선사업자들은 SK텔레콤을 겨냥해 “WCDMA 주파수를 가져갔으면서도 투자를 하지 않으므로 또 다시 주파수를 줘서는 안 된다”고 비판한다.
이동통신시장의 쏠림 현상을 심화시킨 주역인 SK텔레콤에 또다른 무선 주파수를 몰아주는 것은 불공평하다는 입장. 더욱이 WCDMA의 차기 기술로 내년 하반기 상용화 예정인 HSDPA는 데이터 전송을 늘릴 경우 휴대인터넷과 중·저속 데이터 전송에서 겹친다는 주장이다.
반면 SK텔레콤은 휴대인터넷이 음성서비스가 되지 않기 때문에 보완재 개념으로 WCDMA와 HSDPA는 음성으로, 휴대인터넷은 데이터로 차별화해 이동통신가입자들에게 보다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때문에 투자 위축은 어불성설이라는 것.
서종렬 SK텔레콤 차세대무선사업단 상무는 “준(june) 등 동영상 서비스를 휴대인터넷으로 전환해 보다 값싸고 질높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며 “경제성 등을 고려해 음성을 싣기 어려운 만큼 보완재 개념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KT, 부분 경합으로 건전한 경쟁관계 되도록=KT 등 유선사업자들은 휴대인터넷이 xDSL의 연장선상에서 발전해온 기술인데다 SK텔레콤이 향후 집중투자해야 할 HSDPA는 3.5G로 휴대인터넷과 일부 데이터 서비스 부분에서 겹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그림 참조 이 때문에 휴대인터넷을 이동통신사업자에게 주게 되면 두 가지에 모두 투자하기가 어렵다는 것.
대신 휴대인터넷을 유선사업자들이 도입해 서비스를 하게 되면 고정방식의 유선 초고속인터넷에 이동성을 부여하는데다 차량 이동중에도 서비스가 가능해 텔레매틱스 등 다양한 부가모델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다.
고종석 KT 차세대통신사업단 상무는 “휴대인터넷이 유선사업자들에게 주어지면 이통시장의 HSDPA의 보완재적 역할을 하면서 건전한 경쟁관계로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해진다”고 설명했다.
◇서비스 성격 규정이 관건=국민대 비즈니스IT학부 최흥식 교수는 “정부가 서비스 규정을 어떻게 해서 사업자 선정 방침을 정할지가 관건”이라면서 “유선과 무선을 결합하는 제3의 시장을 창출해 투자를 유도할지, 기존 이동통신시장과 결합하는 쪽으로 갈지를 정부가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지연기자@전자신문, jyjung@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휴대인터넷과 유사서비스 비교